백선혜 서울시정개발연구원(시정연) 부연구위원은 13일 서울 서초동 시정연 대회의실에서 열린 ‘강북 4대 상권의 축제관광 진흥 전략’ 정책토론회에서 “동대문, 남대문, 이태원, 용산 등 서울 강북 4대 상권의 특성에 맞는 대표 축제를 개발해야 한다.”면서 “이들 상권은 교통 요지에 위치한 데다 재래시장 자체가 문화·관광 상품으로서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국내외 인지도가 높아 관광 자원으로 가치가 크다.”고 평가했다. 백 위원은 “성격과 타깃 집단 등 정체성이 분명한 ‘대표 축제’를 개발하거나 기존 축제를 이런 방향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대표 축제는 연간 1∼2회로 국한돼 관광 효과에 한계가 있다.”면서 “대표 축제와 상설 축제, 이벤트의 중층적 축제 구조로 축제의 일상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 위원은 각 상권의 대표 이미지로 ▲동대문은 창조성과 화려함 ▲남대문은 전통과 현대 ▲이태원은 혼성·퓨전·코스모폴리탄 ▲용산은 첨단·미디어·디지털을 각각 꼽고 이에 걸맞은 축제 육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