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제천시에 따르면 봉양읍 원박리∼백운면 평동리간 4.5㎞의 박달재에 올해 말까지 모두 29억 4000만원을 들여 벤치와 대장간 등 갖가지 편의 및 관광시설을 조성한다.
청동리 경찰묘역 앞에는 벤치와 화단을 만들고 인근에 대장간과 무구전시관 등이 있는 체험공간을 설치한다. 무구전시관에는 투구와 칼 등이 있어 무인을 흉내낼 수 있고 차를 맛보고 목각도 하는 체험관도 있다. 좀더 올라가면 박달재 자연휴양림 산 중턱에 있는 아름다운 경은사를 한눈에 구경할 수 있다.
이어 박달재 정상에 매점인 ‘금봉이네 집’, 높이 7m 규모의 인공폭포와 물레방아 등이 만들어진다. 금봉이는 조선 중엽에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가던 박달과 하룻밤 사랑을 나눴다 돌아오지 않는 박달의 이름을 부르다가 숨진 이곳의 처녀. 박달은 과거에 낙방하고 시름에 잠겨 있다 금봉이가 죽은 것을 알고 박달재 절벽에 몸을 던졌다는 전설이 내려온다. 고개 이름도 여기에서 유래하고 있다.
봉양읍 원박리에는 벤치 등 각종 편의시설과 높이 20m 이상되는 상징물이 세워진다. 제천시는 4∼5월 공모를 통해 상징물 모형을 결정키로 했다. 인근에 장승 등 60점의 조각품으로 꾸며지는 목각공원도 만들어진다.
천등산에 있는 박달재는 제천에서 서울로 올라가던 옛길로 계곡이 험해 고려시대 때는 김취려 장군이 10만명의 거란군을 물리친 전적지이기도 하다.
현재 박달재에는 박달과 금봉이의 동상과 ‘천등산 박달재를, 울고 넘는 우리 님아’로 유명한 ‘박달재 노래비’ 등이 세워져 있다.
제천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07-2-27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