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토종 한우인 흑우(검은소) 명품 만들기에 나선다. 흑우로 차별화에 나서 국내 고급 한우시장을 장악하겠다는 것이다. 제주 흑우는 고려시대부터 왕에게 진상될 정도로 우수한 육질을 자랑한다.
14일 제주도축산진흥원에 따르면 흑우의 고기성분은 올레인산과 리놀산, 불포화지방산이 일반 한우보다 높고 향과 다즙성, 부드러움을 나타내는 연도도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일반 한우보다 체격이 왜소한 탓에 1980년대 고기무게 위주의 축산정책에 밀려 지금은 사육 마릿수가 380마리뿐이다.
제주도는 2020년까지 제주에서 사육 중인 한우를 대부분 흑우로 교체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흑우 사육 마릿수를 4만 5000마리로 늘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기존 한우단지는 흑우단지 전환을 유도하고 흑우브랜드 개발, 흑우명품 단지 조성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흑우 증식을 위해 축산진흥원과 난지농업연구소가 보유 중인 우량 흑우 정액을 이용, 대량 번식에 나설 계획이다. 제주 흑우의 수정란과 정액 등의 육지반출도 엄격히 금지시켰다. 조덕준 제주축산진흥원장은 “흑우는 이미 수도권 유명백화점 등에서 최고급 명품 대접을 받고 있다.”면서 “사육 마릿수를 늘려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