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돔과 함께 제주를 대표하는 인기 어종인 ‘은갈치’보호를 위해 제주 지역 갈치잡이 어민들이 발벗고 나섰다.
제주도어선주협의회는 10일 제주 근해와 일본 해역을 포함한 동중국해 해역에서 연중 휴어기없이 주낙(여러 개의 낚시를 동시에 드리워 낚아올리는 어구 어법)으로 갈치를 잡아왔던 도내 170여척의 연승어선들이 올해 처음으로 6월 한달동안 갈치잡이에 나서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제주 연승어선 선주들의 이같은 결정은 연중 조업에 따른 자원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1년에 가까운 고민 끝에 내린 것이다.
조업을 하지 않는 시기를 6월로 정한 것은 이 시기에 5월부터 산란한 어미갈치가 새끼와 함께 회유해 연승어구에 걸려드는 갈치 어획량의 40% 정도를 어린고기가 차지해 상품성이 떨어지고 어자원 보호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평균 10㎏들이 상자당 40∼50마리가 들어가는 어린갈치의 위판가격은 4만∼5만원선으로, 상자당 33마리까지 들어가는 어미갈치 가격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어선주협의회 관계자는 “어선마다 7∼8명에 이르는 선원 관리와 갈치 수급 등의 문제가 있어 고심했다.”면서 “선원들에게는 갈치 판매가격이 높아지면 실질임금이 오를 것이라며 설득하고 이해를 구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제주 지역 어민들은 주로 외줄낚시(채낚기)로 갈치를 잡았으나 1990년대 초부터 주낙을 이용한 연승어업 방식이 개발돼 전체 어획량의 70% 정도를 연승어업으로 잡고 있다.
지난해 제주지역 갈치어획량은 2만3000여t, 어획고는 1600여억원이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