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서해안 어획량은 3만 847t으로 이 중에 멸치가 1만 1474t을 기록해 전체의 37%를 차지, 가장 많이 잡혔다.
●수온상승 등 영향… 난류성 어종 크게 늘어
멸치는 1996년 2458t이 잡히는 데 그쳤다.10년 사이에 무려 466%가 늘어난 것으로 어획량의 순위도 4위에서 1위로 뛰어 올랐다.
당시 1위를 고수하던 굴은 멸치 때문에 2위로 주저앉았다. 지난해 생산된 굴은 1만 650t에 이르고 있다. 인천에 있는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의 황학진 박사는 “한가지를 꼭 집어 얘기할 수 없지만 과도한 어획, 수온 상승, 해양생태계변화 등이 이 같은 양적인 어종 변화를 불러오는 원인이 되는 것같다.”고 밝혔다.
이어 3위는 8156t이 잡힌 오징어.10년 전에는 292t에 불과해 열손가락 안에도 들지 못했다. 동해안만의 특산물로만 여겨지던 게 최근들어 서해안의 주된 먹거리로 급부상한 것이다. 날씨가 더워지면 난류성 어족인 오징어가 몰려들고 있기 때문이다.
조개류인 동죽이 4위를 차지한 데 이어 1996년에 많이 잡히지 않던 대구, 가자미, 키조개가 각각 5,6,7위를 기록했다. 생산량은 대구 3726t, 가자미 3417t, 키조개 3391t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중국과의 협상으로 서해 가운데 한류가 형성되는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조업이 가능해져 동해안이나 남해에서 많이 나던 대구가 서해안에서도 많이 잡히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10년 전 5066t으로 2위를 차지했던 뱅어는 지난해 집계가 어려울 정도로 생산량이 급감했다. 민어와 강달이도 거의 잡히지 않고 있다.
1970∼80년대까지 서해안의 대표적 수산물이었던 조기, 꽃게 및 갈치도 급격하게 어획량이 줄어 들었다.
●생태계 지각변동
지난해 조기 어획량은 35t에 불과하다.10년 전에 잡혔던 356t보다 10분의 1로 크게 줄어든 상태다.
96년 각각 5,6위를 기록하며 서해안의 대표 어종을 상징하던 밴댕이와 낙지도 순위에서 밀린 실정이다.
한편 한국해양연구원은 이날 “동해의 수온이 1985년 이후 연평균 0.06도씩 상승, 난류성 어종은 늘고 명태, 꽁치, 정어리 등 한류성 어종이 줄어들고 있다.”면서 “동해보다 서해가 수온에 더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서해에 대한 분석후 어업지역 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07-5-29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