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는 30일 ‘국기에 대한 맹세’ 문안을 수정하기 위해 다음달 8일까지 인터넷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다.
수정안은 다음달 말까지 최종 확정된 뒤 7월 중 ‘국기법 시행령’에 담아 제정·공포할 계획이다.
국기에 대한 맹세 문안은 1972년 당시 문교부가 학생 교육 차원에서 처음 만들었다. 이어 1984년에는 국민들의 애국심 고취를 위해 대통령령인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 규정’에 포함돼 국기에 대한 경례 때 사용해왔다. 그러나 지난해 말 문안이 시대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폐지 논란이 일었다.
이에 따라 행자부가 지난 16일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기에 대한 맹세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체의 77%로 나타났다. 다만 맹세 문안을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44%)는 의견과 ‘시대상에 맞게 바꿔야 한다.’(42.8%)는 견해가 팽팽히 맞서자 수정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행자부 관계자는 “현재 사용하는 맹세 문안이 국가 우선주의를 지나치게 강조한다는 지적이 있다.”면서 “특히 청·장년층을 중심으로 맹세 문안을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아 바꾸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행자부는 3가지 수정안을 제시, 의견 수렴에 나섰다. 이 외에도 국민들이 직접 맹세 문안을 작성, 제안할 수도 있다.
참여를 원하는 국민은 다음달 8일까지 행자부 홈페이지(www.mogaha.go.kr)와 참여마당 신문고(www.epeople.go.kr), 포털사이트 네이버·다음 등을 통해 의견을 제시하면 된다. 팩스(02-2100-4091)로도 가능하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7-5-31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