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할아버지는 지난해 쓰레기로 뒤덮였던 이곳 황무지를 아름다운 정원으로 일구었다. 돈 한 푼 받지 않는 자원봉사였다. 부산의 한 병원에서 33년간 직원으로 일하다 은퇴한 그는 2005년 딸 가족이 살고 있는 강북구 수유3동으로 이사왔다. 직장에 다니는 딸이 손자를 돌봐달라고 부탁해 노부부가 함께 올라온 것이다. 적적하던 참에 동네 가까이에 있는 우이천을 자주 찾았다. 산책로가 번듯하고 냇물 흘러가는 소리가 듣기 좋았다. 그러나 문제는 하천변이었다. 산책로에서 도로까지 바위가 쌓여 있는데 그 사이사이에 쓰레기가 수북했다. 지난해 2월 수유3동 동사무소는 이곳을 정비하기로 하고 자원봉사자를 모집했다. 그는 가장 먼저 지원했다. 부산 병원에서 정원을 돌보았던 터라 자신이 있었다.
“삭막한 도시에 오아시스 같은 하천이 있는데 쓰레기로 망가지는 것이 속상하더라고….”
개간이 시작됐다. 폭 6m, 길이 120m 하천변에 쌓여 있던 쓰레기와 돌을 트럭 2대에 나눠 버렸다. 그리고 흙을 가져다 붓고 연탄재와 낙엽을 거름으로 활용해 땅을 일구었다. 밭이 비옥해지자 꽃씨를 뿌리고, 바위 사이에 야생화를 심었다. 가족들은 쉬엄쉬엄하라고 당부했지만 김 할아버지는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강행군을 했다.
덕분에 나무쑥갓, 베고니아, 팬지, 제비꽃 등이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웠다. 황무지가 아름다운 정원으로 바뀌어 갔다. 에 서울시가 지난 5일 환경도시 서울을 만드는 데 헌신했다며 그에게 환경상을 줬다.
“하천변에 야생화를 가득 심으려고 해. 그리운 고향의 향기를 서울에서 느끼면 동네 주민들이 얼마나 행복하겠어.”
김 할아버지의 정원 가꾸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2007-6-8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