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광진구에 따르면 다음달 8일 오전 10시∼오후 5시 광장중학교 운동장에서 ‘제7회 나담 축제’를 연다.
국내에 있는 몽골인들에게 모국에 대한 향수를 달래주기 위해 기획했다. 구민들에게는 이색적인 몽골 유목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나담 축제는 본래 7월 초순쯤 몽골 사막에서 펼쳐지는 몽골 최대의 국가축제다. 공식 명칭은 ‘에링 구루방 나담’. 씨름·경마·활쏘기 등 3종의 중요한 경기라는 뜻이다. 지방 예선에서 강자를 선발한 뒤 중앙 무대에서 몽골 최고의 강한 남자를 뽑는 대회다.
서울 축제는 나담 축제의 축소판인 셈이다. 다만 서울에서는 몽골 말을 구하기 쉽지 않아 경마를 생략하고 몽골 전통씨름 ‘부흐’와 활쏘기, 이어 달리기 등을 한다. 양이나 염소의 복숭아뼈로 일종의 구슬치기를 하는 ‘샤가이’도 한다. 주한 몽골학교 학생들이 전통무용도 선보일 예정이다. 경기장 주변에는 몽골 전통가옥 ‘게르’를 전시하고 양고기 구이 ‘허르헉’ 등 전통음식도 싸게 판매한다.
광진구는 2001년 몽골 울란바토르 항올구(區)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정송학 구청장이 취임 후 첫 해외방문지로 지난 5월 몽골에 다녔왔을 정도로 인연이 각별하다. 지역에 중소기업이 많아 몽골 근로자들이 많이 살고 있기 때문이다. 울란바토르 문화진흥원과 주한 몽골학교가 광장동에 있다. 몽골인 260만명 중 1.3%인 3만 5000여명이 국내에 살고 있다.
광진구 관계자는 “매년 2000명 가까운 몽골인들이 이 축제에 와서 고향 이야기를 주고받는다.”면서 “광진구 주민과 몽골 근로자가 개별적으로 결연을 맺는 일도 많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