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태안군에 따르면 천수만의 서산B지구 442만평에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를 건설하는 현대건설이 인근 부남호를 준설해 나오는 골재를 성토재로 무료 사용케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 기업도시는 현대건설이 모두 9조원을 들여 2011년 부지조성을 끝내고 2020년까지 골프장 6개와 국제비즈니스단지, 특목고, 웰빙병원, 실버단지 등을 건설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현대측은 9월부터 부남호(472만평)에서 1670만㎥의 골재를 채취, 이 기업도시 부지를 성토할 계획이다. 현대는 “퇴적토 준설이 수익성이 없는 사업이고 부남호 수질이 악화돼 우리가 안 하면 어차피 정부에서 준설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주장한다.
골재 채취는 업체들이 소유 기관으로부터 준설허가를 얻어 강과 하천을 파주고 나온 자갈과 모래 등을 팔아 이득을 취하고 있다. 소유자는 준설이 수질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원석값만 받고 허가, 업체간 경쟁이 치열하다.
부남호 준설업체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이 담수호와 연계해 기업도시를 건설하는 현대건설이 될 전망이다.
농촌공사 천수만사업단 관계자는 “농어촌정비법에 따라 원석대금을 내는 것이 원칙이고 국가 소유의 호수에서 민간사업을 위해 골재를 채취하면서 대금을 납부하지 않겠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기업도시 성토재를 다른 곳에서 가져오면 현대건설이 훨씬 많은 돈을 들여야 하는데 수익성이 없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얘기”라고 반박했다.
공사는 지난달 중순 골재대금 산출 용역을 전문기관에 의뢰했고, 태안군은 기업도시 건설사업이 둘 사이의 갈등으로 차질을 빚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부남호는 1995년 준공됐으나 한번도 준설이 이뤄지지 않아 퇴적층이 최고 12m 정도 쌓이고 수질이 5급수까지 떨어지는 등 농업용수로도 어려워 준설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태안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