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세계 인구의 절반에 육박하는 26억명 정도가 화장실 없이 생활하고 있다.
또 유엔개발계획(UNDP) ‘2006년 인간개발 보고서’는 매년 200만명의 어린이가 깨끗한 물과 적절한 위생시설이 없어 목숨을 잃고 있다고 발표했다. 깨끗한 물과 위생시설이 공급된다면 수인성 전염병으로 죽음에 이르는 인구가 70%가량 줄어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게다가 전세계 수백만명의 여성과 미성년자들은 교육 기회를 박탈당한 채 물을 긷고 나르는 데 노동력을 소비하고, 수입의 30% 가까이를 물을 구입하는 데 지출하기 때문에 ‘빈곤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유엔은 오는 2008년을 ‘국제 위생의 해’로 지정했다.
앞서 2000년에는 빈곤 타파를 위한 범세계적인 의제인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발표하면서,‘오는 2015년까지 낙후된 화장실을 보유한 사람의 수를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우기도 했다.
심재덕 세계화장실협회 창립총회 조직위원장은 “화장실을 개선하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하루에 사용하는 물의 60%가 화장실에서 소비되는 만큼 전세계가 직면한 물 부족 문제도 극복할 수 있다.”면서 “또 사람은 평생 3년 정도를 화장실에서 보내기 때문에 배설공간을 넘어 휴식·문화공간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7-7-25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