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시와 종로구에 따르면 이 집은 403.3㎡ 크기의 땅에 지상과 지하 각 1층짜리 건물 4동으로 되어 있다. 장 박사는 이 집을 직접 지어 1937년부터 살았으며 1966년 이곳에서 영면했다. 안채와 사랑채, 경호원실 등으로 구성된 이 집은 우리나라 전통 주택양식과 서양식, 일본식이 적절하게 혼합된 건물로 평가받는다.
종로구는 정부와 서울시로부터 사업예산 각 10억원을 지원받아 올 4월부터 관련 사업을 추진했으며, 이달 중에 장 박사 맏아들의 친구로부터 소유권을 넘겨 받을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1930년대 국내 주거양식의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 박사의 집은 역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면서 “문화재청 등과 협의해 역사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