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만 받았던 주차 요금을 신용카드나 교통카드로 결제할 수 있다. 주차장 만석으로 차를 다시 돌리는 헛수고도 없어진다. 공영주차장 인근에 주차장의 위치와 주차 가능 대수, 요금 등을 실시간으로 안내하는 주차정보 전광판이 설치되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5일 이같은 기능을 갖춘 ‘공영주차장 지능화(ITS)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계약 만료로 11월부터 새 위탁사업자가 운영·관리를 맡는 강북의 64개 공영주차장에서 이를 시범 운영한다. 강남의 공영주차장 84곳도 새로 위탁 운영 계약을 맺는 2010년부터 이를 적용할 방침이다.
계획에 따르면 앞으로 공영주차장에서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현금 결제 때는 영수증 발급이 의무화된다.
차단기와 요금정산소를 설치하기 힘든 소규모 노상 주차장은 개인휴대용정보단말기(PDA)로 신용카드 결제와 영수증을 발급한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요금 납부 편의를 높이고 주차요금 관리의 투명성을 높이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또 주차장 인근에 주차정보 전광판을 설치해 시민들에게 주차장의 위치와 주차 가능 여부, 요금 등을 안내한다.
시민단체 등으로 ‘주차관리 시민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주차장 이용 편의 등을 평가한다. 우수 업체에 금전적인 인센티브를 주고, 부실 업체에는 지원을 줄이는 페널티를 부과하기로 했다.
또 종전에 1개 사업자에게 강북의 공영주차장 전체를 위탁 운영하던 것을 7개 권역으로 나눠 사업자당 최대 2곳까지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위탁 기간도 7년에서 3년으로 줄였다.
서울의 공영주차장은 강북 64곳 5080면, 강남 84곳 6582면, 시설관리공단이 관리하는 곳 등 모두 176곳 2만 5023면에 이른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공영주차장의 이용 편의가 높아질 것”이라면서 “이와는 별개로 서울시내 모든 주차장에 대한 통합관리 시스템을 2009년 상반기까지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07-9-6 0:0: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