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로는 노인·장애인 돌봄서비스 등 사회복지 분야 일자리가 올해보다 3만 3000개 늘어난 15만 9000개이다. 방문보건·의료급여관리 등 보건의료 분야 일자리가 6000개 증가한 3만 9000개, 방과후학교·도서관·미술관 연장운영 등 교육 분야가 4000개 늘어난 3만개다. 또 국립공원지킴이·숲가꾸기 등 환경안전 분야 일자리는 2만 1000개로 올해보다 5000개 증가한다. 사회서비스 일자리의 양은 물론, 질도 향상된다. 올해에는 12개월 미만 일자리가 22개 사업이었으나, 내년에는 7개 사업으로 줄어든다.
기획처 관계자는 “사회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도 강화할 계획”이라면서 “부처간 비슷한 사업에 대해서는 통합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서비스 전달체계를 개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내년 사업에 대한 신청·접수는 각 부처가 1월부터 개별적으로 실시한다. 구직 희망자는 양극화민생대책본부 홈페이지(www.service.go.kr) ‘사회서비스 일자리마당’이나 지방자치단체 등을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