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7일 신촌 세브란스병원 앞, 한성대 입구, 성신여대 입구 등 교차로 3곳에서 버스 전용신호를 시범 운영한 결과, 일반 차량의 통행 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연말까지 신도림역 등 11곳에 버스 전용신호를 추가로 설치한다고 밝혔다.
버스 전용차로가 추가 설치되는 곳은 신도림역(경인로), 보라매역·박미삼거리·금천구청 앞(시흥대로), 북가좌 삼거리·은평차고지·남가좌동 삼거리(수색·성산로), 도봉산역·방학역(미아·도봉로), 새서울극장(망우로), 중곡삼거리(천호대로) 등 11곳이다.
버스 전용신호는 좌회전이 허용되는 교차로에서 버스 차로와 일반 차로의 신호 운영을 서로 분리한다. 버스 전용신호를 마련해 버스가 ‘직진 금지’ 신호 때에 일반 차량은 좌회전과 직진할 수 있도록 했다. 버스의 ‘직진 허용’ 신호 때에는 일반 차량이 좌회전을 못하는 대신 직진할 수 있다.
시는 그동안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면서 2차로에서 좌회전을 받는 일반 차량이 버스와 충돌할 수 있어 직진 신호와 좌회전 신호를 분리 운영했다. 이 때문에 교차로 내에 일반 차량의 신호 시간이 제한되면서 정체 시간이 늘었다.
시 관계자는 “시범운영 결과 일반 차로의 직진 시간이 연장돼 일반 차량의 통행 속도가 38%(2.6∼10㎞/h) 정도 향상되고 끼어들기, 무리한 진입 시도 등이 줄어 교차로 내에 엉킴 현상이 감소됐다.”고 말했다. 시는 또 그동안 강남구 학여울사거리, 광진구 성수사거리, 마포구 구룡삼거리 등 3개 교차로에서 시범 실시중인 ‘차량 신호등 위치 조정 사업’도 조만간 효과를 분석해 내년 1월에 확대 시행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