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개발연구원은 31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연구원 회의실에서 ‘서울시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 평가방안’을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김원호 시정연 부연구위원은 주제발표를 통해 “중앙차로제의 확대 시행을 앞두고 있으나 종합적인 평가체계가 없어 운영에 따른 효과 분석, 운영의 보완 등이 불가능하다.”면서 “버스관리시스템(BMS)이나 스마트카드 데이터 등을 활용해 효과를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부연구원은 오전과 오후 출·퇴근 시간대에 특정한 지점의 평균 통행속도를 측정한 결과, 중앙차로제 구간의 버스가 가장 빠르고 일정한 간격으로 정류장에 도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속도는 시속 중앙차로는 21㎞, 가로변 전용차로 17㎞, 일반 차로 14㎞ 등을 기록했다.
또 중앙차로제를 시행하고 7개 구간의 교통수단 이용률을 설문조사한 결과, 시흥·한강로의 버스 이용률이 41%로 가장 높았다. 이곳의 승용차 이용률은 단 2%, 지하철도 16%에 그쳤다. 지하철 노선이 불편해 버스 이용객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승용차 이용률은 천호·하정로가 14%로 가장 높았다. 버스는 36%, 지하철은 29%로 나타났다. 지하철 이용률은 망우로가 버스와 똑같은 41%를 기록했다. 승용차 이용률은 2%이고, 택시는 아예 1명도 없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