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누님 놀리지 마세요. 내 나이도 올해 칠순이 넘었어요.”
18일 머리가 희끗희끗한 어르신 8명이 도봉구 도봉동 노인복지센터 내 공동작업장에서 양말을 포장하면서 농담을 건네며 웃었다. 이야기 화제도 다양하다. 자식이나 며느리 흉보기, 집안의 애경사는 기본이고 새로 사귄 이성친구, 연예인 이야기 등 하루종일 웃음이 끊이지 않는다.
도봉구가 민간기업인 수원섬유, 미주섬유에서 생산한 양말을 포장하는 사업을 유치해 어르신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했기에 가능한 풍경이다.
김승희(73·도봉1동) 할머니는 “집에서 혼자 있으면 아픈 곳만 늘어나는데 여기서 일도 하고 친구들도 사귀니 살맛이 난다.”면서 “비록 작지만 내 힘으로 돈도 벌어 손자들에게 용돈도 주고 나를 위해 쓸 수 있어 더 좋다.”며 웃는다. 옆에 있던 이규원(72·도봉2동) 할아버지는 “늙은이들에게 가장 큰 적은 바로 외로움이야. 그런데 여기는 모두 친구라 좋아.”라고 거든다.
어르신들은 주로 하루에 4∼5시간씩 양말접기, 실밥뽑기, 양말 포장하기, 쇼핑백 끈넣기, 주유소 기름 넣기, 빌딩관리 등 단순하면서 손쉬운 일거리를 하며 한달에 20만원 정도의 급여를 받는다.
도봉구는 기업과 경로당을 연계하여 노인을 위한 특별한 일자리를 마련하는데 온힘을 기울이고 있다. 단순한 휴식공간이던 경로당이나 노인복지센터를 작업장으로 이용해 기업에는 공간과 인건비 절약, 노인들에게는 일자리와 경제적 도움 등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불량제품 선별 및 포장 일감을 확보하기 위해 사회복지과는 물론이고 4개 노인복지센터, 사회 단체 등과 힘을 합쳐 일자리 확보에 나섰다. 연말까지 모두 1600여개 노인일자리 확보를 목표로 뛰고 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