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2013년 여름철 유니버시아드(U)대회 유치전에 나섰으나, 새 정부 출범과 총선 등 어수선한 현안에 밀려 분위기가 뜨지 않고 있다. 대규모 국제 대회일수록 지역민들의 유치 의지와 열기가 현지 실사 때 중요한 평가항목이다. 국제 실사단이 4월에 광주를 방문함에 따라 시와 유치단, 주민들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유치 활동에 사활 건 광주
광주시는 24일 U대회 유치 열기를 높이기 위해 ‘하계U대회 유치 범시민 붐 조성계획’을 마련했다. 지원단 구성을 통한 범시민 지원체제 확립과 언론 매체·온라인 홍보 강화, 범시민 서명운동 등 나름대로 치밀하게 준비한 것으로 보인다.
시는 이달말까지 10만명의 ‘범시민 지원단’을 모집하고 다음달 11일에 발대식을 갖기로 했다. 발대식이 축제 분위기에서 치러져 세계적인 이목을 끄는 게 목적이다. 또 이틀 후에는 3만명이 참석해 U대회 유치를 기원하는 ‘시민 한마음대회’를 연다. 자치구별로 1000명 규모의 유치지원단을 꾸린다. 광주 지역 대학생들이 주축이 된 ‘대학생 지원단’도 만들어진다. 다음달 23일 범시민 걷기대회와 28일 나무심기 행사도 연다.
●대규모 행사 줄이어
이르면 다음달 중순에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 집행위원회 관계자들이 대거 광주를 방문한다. 관계자 4∼5명이 단 한 차례 이른바 ‘실사’를 하는 자리다. 개최지는 5월31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집행위원 23명이 투표로 결정한다. 따라서 광주를 결정적으로 알릴 기회는 실사단의 방문 기간에 달렸다. 박광태 시장과 위원장을 맡은 이희범 전 산업자원부 장관 등 유치단 일행은 지난 11∼22일 유럽, 미국, 중국 등을 분주하게 오가며 “광주에 한 표를 달라.”고 호소했다. 귀국한 일행은 “해외 분위기는 나름대로 우호적인 편”이라면서 자신감을 보였다.
하지만 문제는 국내 상황. 새 대통령의 취임과 정부조직개편 등에 이어 결정적인 4월에는 총선이 치러진다. 총선이 없다면 너도나도 거들겠다며 달려 들었을 국회의원들도 U대회에 쓸 신경이 없다. 주민들도 무심한 편이다.
●언론 역할도 중요
이에 따라 시는 대회유치 성공을 위해 언론 등 미디어 활용도를 높이기로 했다. 지역 방송·신문사 등과 업무 협약을 맺고 각종 캠페인과 기자회견, 인터뷰, 간담회, 특별기고 등으로 U대회 유치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알리고 있다. 특히 FISU의 실사단이 광주를 방문할 때 집중적인 보도를 부탁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언론 보도에 희망을 걸고 있지만, 유치에 성공하려면 강원 평창 주민들이 이전에 보여 주었던 환호와 갈망의 분위기가 필요하다.”면서 정부와 지역 주민들에게 관심을 당부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08-2-25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