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인천항만발전협의회가 밝힌 ‘인천항 기능 재배치 및 향후 전망’에 따르면 체선·체화가 심각한 인천항 내항의 경우 현재 48선석 규모를 그대로 유지, 친수공간화 사업이 착수되는 2015년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반면 현재 8선석이 운영 중인 북항은 2015년까지 17선석 규모로 확장되며, 국제여객터미널이 들어설 예정인 남항은 북측 8선석, 남측 10선석 규모로 개발될 전망이다. 그러나 송도국제도시에 들어설 인천신항은 착공 지연 등의 이유로 당초 계획한 2012년 9선석 운영이 불투명한 실정이라고 협의회는 밝혔다. 인천신항 착공이 지연된 원인으로 신항이 착공되기도 전에 내항 친수공간 조성을 주장하는 여론이 일었고, 환경단체의 반대로 신항 진입도로가 미해결된 점 등을 들었다.
협의회측은 내항 친수공간 조성보다는 신항 착공이 우선돼야 하며, 일본 요코하마와 부산항도 신항 개발 후 친수공간을 조성했다고 강조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