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7일 이같은 내용의 ‘뉴타운 자전거 네트워크 구축계획’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뉴타운 사업이 완료되는 2015년 이후에는 서울에 자전거 중심의 친환경 교통체계를 구축하는 게 이 계획의 목표다.
현재 25개 뉴타운 지구 중 은평·왕십리·가재율 등 19개 뉴타운 지구에는 195곳 113.4㎞의 자전거도로 설치계획을 이미 수립했거나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길음·청량리·합정·홍제·천호·영등포 등 설치계획이 아직 없는 나머지 6개 지구는 뉴타운 세부계획을 짤 때 반드시 자전거도로 설치계획을 포함하도록 했다.
뉴타운의 자전거도로는 공원이나 학교, 문화복지시설, 도서관, 공공시설 등과 연결되는 순환형으로 짜도록 했다. 또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등 대중교통시설과도 연계돼야 한다. 역과 정류장 주변에는 자전거보관소, 자전거주차장 등을 갖추도록 했다. 아울러 문화 및 사회 복지시설, 공원에도 자전거보관소를 확보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11월에 발표된 ‘자전거 전용도로망 조기 구축계획’에 따라 2010년까지 연차적으로 설치되는 홍제·불광권, 도심권, 중계·상계권, 잠실권, 양천권 등 5대 자전거생활권역의 자전거도로와 장위·신정·천호 등 12개 뉴타운에 신설되는 자전거도로를 서로 연결하기로 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8-4-8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