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10년까지 모두 941억원을 투입해 암사동과 반포동 한강둔치 등 7개 지역에 ‘자연성 회복사업’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로 만든 인공호안 72㎞ 가운데 62㎞가 자연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개발 논리에 밀려 한강둔치에 콘크리트 벽을 만든 지 20년 만에 걷어내는 것이다.
다만 유속이 빨라 풀이 자랄 수 없는 지역이거나 선착장으로 사용되는 10㎞가량의 콘크리트 인공호안은 대상에서 빠졌다.
시는 콘크리트 제거 첫 사업으로 이날 암사동 생태복원사업을 착공했다. 오는 10월 초까지 38억원을 들여 인공호안 1.03㎞의 콘크리트를 철거한다. 이와 함께 6만 9947㎡ 규모의 갈대·물억새 군락지를 만드는 등 모두 16만 2000㎡ 규모의 생태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 내년 8월까지 동작대교 남단 반포공원 일대의 인공호안 1.4㎞를 걷어낸다. 이곳에 수림대와 야생초화 군락, 휴게공간 등을 갖춘 14만 5000㎡ 규모의 친수 공간을 꾸민다.
여의도 일대는 오는 9월부터 내년 10월까지 368억원을 투입해 총 4.6㎞의 샛강 수로가 15∼30m(기존 10m)로 확장된다. 이와 함께 자전거도로 4.7㎞와 산책로 7.4㎞가 설치되는 등 75만 8000㎡ 규모의 생태공원이 들어선다.
강서구 개화동 강서습지생태공원은 연말까지 공원 면적이 37만㎡로 확장된다. 습초지와 물억새 군락지, 전망로 등을 갖춘 자연형 공간으로 리모델링된다.
이밖에 내년 말까지 강동구 강일동∼강서구 개화동간 한강둔치 13개 호안지역(14.7㎞)에 녹화사업이 진행된다. 홍제천과 당현천, 우이천 등 6개 지천의 생태복원사업도 추진된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