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 비용은 모두 4억원 수준. 대규모 시설을 갖춘 영어마을 건립 비용과 비교하면 가격 경쟁력에서 압도적이다. 시설비 전액을 투자하는 일반 영어체험센터와 비교해도 다르지 않다. 덕분에 강동구의 실험이 다른 자치구로 파급될 가능성도 충분하다.
김성애 영어체험센터장은 “시설 투자에 비해 운영 프로그램이 부실하다는 말을 듣는 영어마을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리모델링 비용을 대폭 줄였다.”면서 “하지만 충실한 운영과 질좋은 학습 소프트웨어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사설학원 수강료의 반값
서울과 경기도에서 운영되는 영어마을의 상당수가 현재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체험시설 구축을 위해 시·도교육청이나 지방자치단체들이 투입한 예산을 포함하면 손실액은 더 커진다.
구 관계자는 “영어마을 중 그나마 낫다는 풍납영어마을도 연간 1억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묘곡초 영어체험센터’는 시설투자 비용이 적다 보니 수강료도 저렴하다.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주 5일 정규 프로그램 가격이 9만원에 불과하다.5일간 총 35시간을 영어에 투자한다. 주변 사설 학원이 이런 프로그램에 20만∼30만원을 받는 것을 감안하면 반값이 안 된다. 하루 2시간씩 한 달간 진행하는 ‘방과후반’의 가격은 이보다 더 싼 7만원이다.
김양수 자치행정과 주임은 “센터를 찾은 학부모들이 영어 사설학원보다 수업의 질이나 가격 면에서 월등히 낫다는 말을 자주 한다.”고 말했다.
●생활체험·멀티미디어 학습
영어센터의 프로그램은 ‘작은 영어마을’을 옮겨놓은 수준이다.6개 교실을 쪼개 모두 22개의 소공간을 만들었다. 여기서 생활 체험과 몰입 학습, 첨단 멀티미디어 학습을 진행한다.
생활 체험은 공항, 호텔, 쇼핑, 카페 등 영어 문화권의 일상 생활과 다양한 축제를 체험할 수 있다. 몰입 학습은 과학과 미술, 음식, 문화, 지리, 수학, 세계 시민의식 등을 영어로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자칠판과 컴퓨터, 로봇 등을 수업에 활용하는 멀티미디어 학습은 영어센터의 자랑이다.
특히 학생들의 영어센터 경험이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온라인으로 영어학습을 지속적으로 돌봐준다. 또 방과후반과 주말반을 통해 영어 심화학습을 진행한다.
영어센터의 영어 교사는 외국인 3명과 한국인 3명 등 모두 6명이다. 한국인 교사는 모두 영어마을 교사 출신이다. 영어 교재는 센터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것을 사용한다.
구는 내년에 중학생 대상의 영어센터 등 모두 4곳의 영어체험센터를 추가로 건립할 계획이다. 김 주임은 “빈 교실만 생기면 바로 영어체험센터가 들어설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면서 “교실을 제공하는 학교에도 적지 않은 인센티브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08-5-6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