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시·군 공무원들이 도청으로 갔다 2∼3년 후 되돌아오면 승진 등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거나 생활기반을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에 거부감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23일 충남도에 따르면 시·군 과장급 간부 공무원의 종합행정 능력을 키워주고, 도청 계장급 공무원에게 현장행정 경험을 쌓아주기 위해 도내 시·군과 매년 5급 대상 인원의 10%를 1대1로 교류하는 ‘도·시군간 인사교류 5개년 계획’ 협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16개 시·군 중 절반이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5급 공무원이 81명에 이르는 천안시는 협약 후 도와 단 1명만 인사교류를 했다.
논산시는 43명 중 2명, 부여군 34명 가운데 2명, 공주시와 서산시 각각 49명 중 3명, 아산시 53명 가운데 4명 등 절반인 8개 시·군이 당초 약속했던 10% 교류는 고사하고 1.2∼8.5%에 그치고 있다.
이들 시·군은 대부분 도시 개발로 조직이 커져 인사 적체가 덜하거나 도청이 있는 대전과 좀 떨어진 곳이다.
반면 대전과 가까운 계룡시와 금산군은 5급 인사교류 대상 17명과 29명 가운데 각각 5명과 6명을 도청과 교류,10%를 크게 웃돌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도와 시·군 근무경력이 있으면 광역 및 기초행정을 모두 알아 공무원의 자질이 높아지고 광역·기초자치단체간 의사 소통이 원활해지는 이점이 있지만 생각만큼 안되고 있다.”면서 “각 시·군과 협조, 교류를 더욱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