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특정해역은 꽃게 조황이 좋았던 지난해 하반기와 비슷한 어획량을 보이지만 연평도는 뚝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6일 인천수협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덕적도, 울도 등 서해 특정해역에서 잡은 꽃게 위탁판매량은 118만 4402㎏(167억 7421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9∼12월)의 꽃게 어획량 230만㎏(195억 2248만원)의 51.4%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상반기보다 하반기의 꽃게 어획량이 월등히 많은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어획량을 상회할 전망이다.
지난해 상반기(1∼5월)의 서해 특정해역의 꽃게 어획량은 70만 780㎏(69억 4180만원)으로 하반기의 30.4%에 불과했다. 이에 비해 연평도의 꽃게 조황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
옹진군에 따르면 4월1일부터 지난 2일까지 옹진수협에 위탁판매한 연평도 꽃게는 12만 8751㎏(22억 7826만원)에 이른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9∼12월)에 위탁판매한 70만 1433㎏(59억 7089만원)의 18.3%에 이른다.
연평 어민들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저인망을 통한 싹쓸이 불법조업을 하는 중국어선들 탓으로 돌리고 있다. 현재 연평도 인근 NLL 해역에서 조업하는 중국어선은 230여척에 달하고 있다.
대청도와 백령도 부근 해역에서 조업하던 중국어선들까지 연평도 해역으로 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서해수산연구소 관계자는 “지난겨울 인천해역 수온이 평소보다 1∼1.5도 높아 산란이 일찍 시작된 데다 치어 방류를 많이 해 인천 연안에서는 꽃게 어획량이 나아지고 있으나 연평도 연안에는 기대에 못 미친다.”고 말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