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대청·괴산호 치어 650만마리 방류·유통센터 건립
“쏘가리를 먹으려면 충주호로, 은어는 대청호, 다슬기는 괴산호에 가야 한다.”충북도가 충주호 등 3개 호수를 거점 지역으로 전국 최대 민물고기 특산단지를 조성한다. 호수 주변에 민물고기유통센터가 들어서고 관련 축제도 펼친다.
●호수별로 어종 특성화
충북도는 4일 이같은 사업계획을 발표하고 오는 2011년까지 총 21억원을 들여 이 호수에 뱀장어, 쏘가리, 은어 등 모두 650만마리의 민물고기 치어를 방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호수마다 어종이 특성화된다. 호수 특성에 맞게 충주호는 쏘가리와 뱀장어, 대청호는 은어와 뱀장어, 괴산호는 다슬기 및 쏘가리, 은어로 색깔을 입힌다.
충주호는 붕어와 피라미 등 먹이생물이 많아 육식성인 쏘가리가 자라기 좋고 대청호는 금강 상류에 은어가 좋아하는 돌이끼가 많다. 충북도 관계자는 “10년 전 대청호에 은어를 넣어 보니 수심이 깊고 물이 차가워 바다로 알고 잘 자라더라.”고 말했다. 은어는 겨울에 바다에서 월동하고 봄에 강으로 올라오는 1년생 어류다.
뱀장어도 바다와 민물을 오가는 회유성 어류이나 이곳 호수에 잘 적응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10년 전 1마리 1000원에 사서 방류했던 실뱀장어가 3∼4㎏의 성어로 자라 마리당 30만∼40만원을 호가, 농가소득에 크게 한몫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국 규모 축제 추진
도는 충주호부터 주변에 살아 있는 민물고기를 공급하는 대형 수족관과 직판장 및 음식점 등으로 이뤄진 민물고기유통센터를 만들고 충주호 쏘가리, 대청호 은어, 괴산호 다슬기 등 전국 단위 축제를 여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전국 생산량의 30%를 차지하는 진천군 문백 메기마을과 인근 관상어마을을 묶어 1박2일 민물고기 체험코스로 개발하는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내륙도(道) 충북의 내수면 면적은 전국의 30%로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 규모를 자랑한다.
지난해 충북의 쏘가리 생산량은 42t으로 전국에서 51%를 차지했다. 민물새우도 22t으로 46%에 달해 전국 1위다. 뱀장어와 다슬기는 18%와 8%로 각각 전국 2위 규모다.
청주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08-7-5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