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희 국방장관은 7일 합참 지휘통제실에서 육·해·공군 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 등과 화상회의 시스템으로 ‘초고유가 대응 군 비상대책회의’를 갖고 이같이 결정했다. 육군의 경우 전차 등 유류 소모량이 많은 야외 기동훈련은 기동장비 3분의1 수준만 동원해 실시하기로 했다. 전력 소모가 많은 전방부대 및 탄약고의 경계등도 취약지역 위주로 점등하고 나머지 지역은 야간감시장비(TOD)를 적극 활용토록 했다.
공군은 조종사 1인당 연간 비행훈련 시간을 현행보다 2시간 축소할 계획이다. 대신 부족한 비행훈련은 지상 시뮬레이션 장비를 이용토록 했다. 프로펠러가 4개인 C-130 수송기는 지상 활주로 이동시 2개의 프로펠러만 가동키로 했다.
해군도 함정을 동원한 교육훈련 횟수를 27%가량 줄이기로 했다.
또 국방부와 각 군에서 관용 및 개인차량 2부제를 시행하고, 관용차량 운행을 30%가량 줄이는 한편, 온수를 이용한 장병 목욕도 주 1회로 제한키로 했다.
국방부 및 충남 계룡대의 육·해·공군본부 청사 등의 승강기는 4층 이하는 운행하지 않고 5층 이상은 격층으로 운행키로 했다. 일몰 후부터 다음날 해가 뜰 때까지 야근자는 스탠드 전등을 사용하고 청사 밖 경관 조명등은 모두 끄기로 했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