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외’ 기술·기능직 대거 발탁
서울시가 역대 최대 규모의 승진 인사를 단행한다. 최근 공무원 조직의 구조조정 분위기에서 관가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서울시는 행정·기술·기능직 분야의 5급 이하 직원 736명을 전격 승진시키는 정기인사를 곧 실시할 예정이라고 31일 밝혔다. 지난해 하반기(451명)와 올 상반기(592명) 등을 크게 웃도는 사상 최대 규모다.
서기관(4급) 승진예정자는 모두 38명으로, 지난해 하반기(15명)보다 2배가 넘는다. 사무관(5급)도 지난해(33명) 규모를 웃도는 84명이다. 실무자급인 6급 이하는 614명이나 된다. 대부분 8,9급 하위직에 속하는 기능직은 지난해(41명)보다 5배 이상인 209명에 이른다.
이번 인사는 그동안 발탁 승진에서 소외돼 온 기술직과 기능직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토목직은 지하철건설 등으로 대거 채용됐다가 간부승진 자리가 적어 빚어온 만성적인 승진적체 상태에서 모처럼 숨통이 트이게 됐다.
서기관 승진자 22명 중 12명, 사무관 56명 중 21명이 토목직이다. 이들은 후반부에 진행될 대단위 건설사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맡게 된다.
또 돋보이는 대목은 간부직인 사무관승진이 모두 시험이 아닌 성과심사를 통해 이뤄진다는 점이다.
시험 승진은 그동안 업무 공백초래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올 상반기 사무관 승진에서는 6주간 인재개발원에서 간부 역량을 평가하는 방식과 성과심사를 병행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사무관 승진자 84명 모두 근무평가 등 성과심사를 통해 발탁했다. 단순히 책만 들여다보는 게 아니라 현장에서 성과를 내면 누구나 간부가 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의도다.
아울러 늘 승진인사에서 소외된 일부 소수 직렬에 대해서도 세심하게 배려했다. 사무관 시험을 통해 채용되는 환경직과 보건직(5급)에 4급 자리를 신설했다. 신규 직원을 더 이상 채용하지 않는 선박직은 승진과 함께 기술직으로 전환시켰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른바 ‘3% 퇴출제’가 채찍이라면 이번 발탁 승진은 당근인 셈”이라면서 “다소 경직된 근무 분위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8-8-1 0:0: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