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에선 박성규(3사 10기), 이홍기·조정환(이상 육사 33기) 소장이 중장 진급과 동시에 군단장에 보임됐다. 육사 33기 출신은 처음으로 군단장에 진출했다. 이홍기 소장은 청와대 국방비서관이다.
해군에선 김정두·최윤희(이상 해사31기) 소장이 중장 진급과 동시에 각각 해군교육사령관과 해사교장을 맡게됐다.
공군에선 김용홍·성일환(이상 공사 26기) 소장이 중장 진급과 함께 각각 공군참모차장과 공사교장에 임명됐다. 오창환(공사 25기) 공군참모차장은 공군작전사령관으로 이동했다.
김중련(해사 30기) 합참 인사군수본부장은 합참 차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합참차장 직은 해·공군 순환 보직이다.
모종화(육사 36기) 육군준장 외 11명과 김동식(해사 33기) 해군준장 외 1명, 권오성(공사 27기) 공군준장 외 4명 등 19명은 소장으로 진급해 사단장 및 주요 부서장에 임명된다.
권오한(육군 39기) 육군대령 외 56명, 이경창(해사 35기) 해군대령 외 13명, 김규진(공사 29기) 공군대령 외 13명 등 85명이 준장으로 진급, 앞으로 사단장 등 주요 직위에 보임된다.
이번 인사에서는 1977년 11월 하사에서 소위로 임관한 단기사관후보생 출신 곽의영(단간13기) 대령이 준장으로 진급했다. 단기사관후보생의 장군 진급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문성을 바탕으로 음지에서 묵묵히 임무를 수행해온 장교들을 발탁한 사례 중 하나라고 군 관계자는 설명했다.
20대1의 경쟁률로 ‘하늘의 별 따기’인 대령에서 준장진급 인사를 위해 김태영 합참 의장과 임충빈 육군·정옥근 해군·이계훈 공군참모총장이 인사제청위원회에 참여한 것도 특징이다.
공군의 김규진 준장 진급자는 소위 임관 때부터 정훈병과를 선택해 장군으로 진급했다. 공군 내에서 임관시절부터 정훈병과를 선택해 장군으로 진급한 첫 예다.
국방부 관계자는 “새 정부 들어 단행한 첫 대대적인 장성급 인사”라면서 “전문성과 개혁성, 작전 능력과 전략적 식견을 갖춘 인사를 발탁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들은 “청와대에서 일절 인사에 개입하지 않기로 공언한 뒤 약속이 지켜지는 가운데 국방장관과 각 군이 주도적으로 외압을 배제한 채 인사를 단행했다.”고 전했다.
이석우기자 jun88@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