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삶, 새로운 직업… 꿈을 주고 희망을 함께
꽤 쌀쌀한 바람이 옷깃을 파고드는 늦가을인데도 가게를 지키는 주인장의 얼굴에는 따뜻한 미소가 흐른다.14일 오후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 북광장 앞. 아담한 가게 9곳이 노천에 옹기종기 모여 있다. 가구 디자이너, 뮤지션, 문화기획자 등으로 활동 중인 주인 9명이 상품뿐만 아니라 노하우와 꿈을 팔고 있는 시장이다.“여러분도 평소 하고 싶었던 일을 실제로 해보세요.” 직업이 따로 있으면서도 평소 꿈꾸던 가게의 문을 연 주인들이 물건을 건네며 삶의 노하우를 전한다.
●누구나 마음속으로 꿈꾸는 또 다른 직업이…
‘바베트의 카페 테라피’를 운영하는 가구 디자이너 전지향(30·여)씨는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있다고 해도 누구나 마음속에 품고 있는 제2의 직업이 하나쯤은 있잖아요. 언젠가 나도 이런 가게를 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가게요. 잠시나마 이렇게 새로운 삶을 살 수 있다는 꿈도 드릴 수 있지요.”라고 말했다. 그녀는 향내 짙은 허브차 한 잔에 2000원을 받는다.
가게를 연 9명 중 6명은 ‘노네임 노숍’이라는 디자인 단체의 회원들이다. 전씨처럼 디자이너 일을 하다 지난 9월부터 이달 말까지 주말 등을 이용해 짬을 내서 가게 일을 한다. 이 단체의 회원 말고도 책을 좋아해 책방을 연 문화기획자가 있고, 소규모 방송국을 차린 뮤지션도 있다.
특히 공원을 찾은 사람들의 발길이 많이 머무는 곳은 김종범(32)씨가 운영하는 자전거수리점. 고장난 자전거를 정성껏 수리해줄 뿐만 아니라 그만의 관리요령도 공짜로 알려주기 때문에 그의 가게는 ‘인기 질주’ 중이다.
대부분이 홍익대 미술대 출신의 선·후배 관계로 이루어진 ‘노네임 노숍’은 2년 전 홍대 앞에서 ‘○○시장’이라는 노점들을 열었다. 가구를 고치는 공방, 자전거를 고치는 정비소 등이다. 대학생 손님들은 ‘공공시장’또는 ‘땡땡시장’이라고 부른다. 꼭 특정한 물건을 팔기 위한 시장과 가게가 아니기 때문에 이번 장터의 이름도 ‘○○시장과 움직이는 ○○가게’라고 붙였다. 요일에 따라 장소를 옮기니 움직이는 가게인 셈이다.
●꿈을 이루는 기술을 알려주고, 희망을 팔고
‘노네임 노숍’은 올해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의 지원사업으로 선정돼 가게를 열었다. 도시갤러리 프로젝트는 흔한 거리에 공공미술의 개념을 접목시켜 도시를 창작과 문화가 넘치는 곳으로 바꾸는 사업이다. 기획자 안연정(31·여)씨는 “다녀간 것만으로도 새로운 삶과 새 직업, 그리고 새로운 꿈을 갖도록 돕는 게 시장을 연 의도”라면서 “우리도 장사가 잘 되면 본래 직업을 바꿀지도 모르겠다.”라며 활짝 웃었다.
젊은 가게 주인들은 말한다. 자신이 팔고 있는 것은 차나 초콜릿 같은 상품이 전부가 아니라고. 상품을 사간 사람들이 전해준 기술로 또다른 꿈을 이루길 바란다고 말이다.
서울시 도시갤러리 추진단과 공공미술위원회가 주최하는 이번 이벤트는 이달 29일까지 열린다. 평일 수·목요일에는 상암월드컵경기장 북광장에서, 토·일요일에는 월드컵공원 평화의 광장에서 그들을 만날 수 있다.
서울시는 내년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참가 희망자를 2~3월에 인터넷(www.citygalleryproject.org) 공모를 통해 선정할 예정이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08-11-15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