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3개 시·도는 21일 양산시청에서 안준태 부산행정부시장, 주봉현 울산정무부시장, 조윤명 경남부지사, 오근섭 양산시장 등 30여명의 공동유치단이 참석한 가운데 ‘동남권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 사무국’ 개소식을 가졌다. 사무국 설치는 지난 4월 ‘부·울·경 발전협의회’에서 시장·도지사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정부의 첨단의료복합단지를 동남권(양산)으로 유치하는 데 공동 노력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사무국(사무국장 양산부시장)에는 3개 시·도와 양산시에서 1명씩 모두 4명이 근무한다. 사무국은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와 관련한 행정 및 재정지원, 홍보활동 계획 수립과 추진 등의 업무를 한다.
첨단의료복합단지는 의료산업의 세계적인 연구개발(R&D) 중심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전략 사업이다.
정부는 앞으로 30년간 5조 6000억원을 투입해 99만㎡의 부지에 첨단 신약 및 의료기기 개발단지를 조성해 연구·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1단계로 2010년까지 1조 1400억원을 들여 33만㎡에 첨단신약개발지원센터를 조성하고 이어 첨단의료기기 개발센터 등을 조성한다.
정부는 의료복합단지 조성을 통해 82조원의 부가가치 창출과 32만명의 고용효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자치단체의 유치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현재 3개 시·도가 공동 유치에 나선 것을 비롯해 대구·경북(수성 의료지구), 인천(송도 국제신도시), 광주·전남, 대전(대덕 특구), 강원(원주시), 충북(오송단지), 제주도, 경기(광교) 등이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부산·울산·경남은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수도권 다음으로 의료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는 동남권에 첨단의료복합단지가 들어서야 한다는 논리다. 동남권에는 최근 바이오, 의료기기, 의료연구거점 등 다양한 관련 산업들이 집적화되고 있는 데다 특히 대학병원, 어린이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등을 두루 갖춘 부산대 양산캠퍼스가 최근 문을 열어 좋은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다는 주장이다.
정부는 지난 6월 ‘첨단의료복합단지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라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를 구성하고 용역을 맡겨 평가지표를 만든 뒤 내년 5~6월 유치신청을 받아 대상지역을 선정할 예정이다.
양산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08-11-22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