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금융위원회는 일시적 자금난을 겪는 시장 상인에게 최대 300만원을 연리 4.5%로 신용대출을 해주는 마켓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원리금 상환 방법은 개인 사정에 맞게 일수,매월 분할,원금 일시상환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자는 양심적 사채보다 20배 낮아
서울 광진구 중곡제일골목시장에서 아동복점을 경영하는 김의상씨는 최근 경기침체로 외상 매출은 증가하는데,물건을 받아오는 도매점에선 현금결제를 요구하는 바람에 상당한 자금난을 겪었다.
대출을 신청한 은행에서는 10%를 웃도는 높은 이자를 문다고 해도 필수적으로 보증인이나 담보를 요구할 뿐이다.그는 지난 6월부터 마켓론을 시범운영하고 있는 시장 상인회에서 300만원을 빌렸다.이후 매일 이자 300원을 포함해 하루 1만 7000원씩 6개월 동안 원리금을 나눠 갚기로 했다.마켓론은 6개월 이자가 단 9000원에 불과하지만,법정이자를 지키는 사채라고 해도 그보다 20배가 더 많은 18만원이나 된다.
서울시내 25개 전통시장에 지원되는 마켓론 규모는 총 10억원.광진구 중곡제일시장 3000만원,노원구 공릉동도깨비시장 5000만원,강서구 까치산시장 5000만원 등이다.지원금의 0.5%인 5000만원은 상인회가 추가로 부담하는 만큼 총지원금은 10억 5000만원이다.상인회 부담금은 보증료(대출금의 3.6%) 등으로 사용된다.
지원금은 시장 상인회를 통해 개인별 최대 300만원씩 6개월 동안 대출된다.상인회 회원이면 누구나 가능하고 제출서류는 전혀 없다.
●서민경제의 최후 보루에 공감정책으로
오세훈 서울시장과 전광우 금융위원장은 이날 서울 중랑구 우림골목시장에서 마켓론 사업을 위한 협약서에 서명하고 상인회에 5000만원을 전달했다.
상인 1명이 300만원씩 신청했다면 25개 시장에서 총 350명이 혜택을 본다.6개월씩 네 차례 운영할 예정인 만큼 2년간 1400명이 돈을 빌릴 수 있는 셈이다.
정부는 지난 9월 청와대에서 열린 ‘생활공감정책 점검회의’에서 10대 과제의 하나로 마켓론 160억원을 편성하기로 했다.160억원은 이번 서울시를 시작으로 내년 7월에 나머지 15개 시·도에 10억원씩 확대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8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해 경영자금 각 2000억원과 800억원을 긴급편성하고 돈 주인을 기다리고 있다.자세한 사항은 시청 홈페이지에서 알 수 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8-12-10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