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 청사 지하가 음악의 전당으로
지난 19일 오후 5시 마포구 염리동주민센터 지하실. 나이 지긋한 중년 남성부터 주부, 어린이들이 동그란 원 모양으로 둘러앉아 있었다. 12명의 수강생들은 모두 오른손에 드럼스틱을 든 채로 모조 드럼(드럼 연습패드)을 ‘쿵’ 내려치고, 왼발을 ‘탁’하고 구르며 박자 맞추는 연습 중이다. “아냐, 손목 스냅을 이용해서 부드럽게 쳐야지, 물결치듯이 손목을 유연하게 흔들어봐.” 수강생의 원 안에 선 30대 강사가 한 남자 중학생의 손동작을 고쳐주었다. ‘쿵 탁, 쿵 탁’. 모조 드럼의 둔탁한 소리가 교실에 울려퍼졌다.이곳은 한 달 전까지만 해도 이용자가 거의 없던 체력단련실이었지만 지금은 남녀노소가 드럼, 통기타 등을 배우고 연습하는 음악교실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음악 수업 운영
염리동주민센터는 지난 5일 동 청사 지하의 체력단련실(375㎡)을 새롭게 단장해 음악교실로 꾸몄다. 지난해 12월부터 총 1500만원을 들여 방음시설을 갖췄다. 700만원을 들여 드럼, 베이스기타 등 악기와 앰프 등 음향시설도 마련했다. 또 전문 강사를 초빙해 개인교습 형태로 드럼, 기타교실의 문을 열었다.
주민센터는 월 2만원의 저렴한 비용으로 주 1회 1시간씩 음악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드럼교실은 매주 월요일 오후 3~4시, 오후 5~6시이며 통기타 교실은 매주 목요일 오후 4~5시, 오후 6~7시 각각 2개반으로 진행된다.
드럼 수업을 듣는 아들을 보러온 주부 이유자(44)씨는 “평소 아들이 드럼을 배워 교회 성가대에서 연주하고 싶어 했다.”면서 “배울 곳이 마땅치 않고 레슨비도 비싸 포기하고 있었는데 주민센터에서 올해부터 저렴한 가격에 드럼교실을 운영한다고 해 고마웠다.”고 말했다.
드럼 강사 유근수(33)씨는 “모조 드럼을 통해 기본기를 익히고 3개월 동안 개인 실력별로 1대1 맞춤지도를 한다.”면서 “드럼이 빠른 리듬감과 현란한 손놀림 때문에 젊은층에 인기가 많을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상은 전업주부가 가장 많이 배우러 온다.”면서 “아마도 일상생활 속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많이 오는 것 같다.”며 웃었다. 염리동주민센터는 이 음악교실을 낮시간이나 수업이 비는 시간을 활용해 비보이나 음악인을 위한 연습공간으로 빌려줄 계획이다.
●비보이 동아리·직장밴드 위한 공간
이용을 원하는 단체나 개인은 주민센터로 문의해 사전예약을 하면 일주일 내내 무료로 이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주민센터 관계자는 “사설 음악연습실은 이용료가 만만치 않고 구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주민센터 이용을 원하는 비보이 단체 문의전화가 상당히 많다.”고 말했다. 통기타 수업을 듣고 있는 음악교실 최고령 수강자 정기현(57)씨는 “음악교실에서 악기를 배우는 주민들로 주민밴드를 구성해볼 생각”이라면서 “밴드 구성 후 경로당이나 보육시설을 찾아 자선공연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염리동주민센터 구본수 동장은 “그동안 문화 혜택에서 소외됐던 주민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흔치 않은 악기를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09-1-21 0: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