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들을 툭하면 짜증나게 만들었던 시내 도로공사가 전남 목포시에서 사라졌다. 시는 이달부터 시민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도로에서 땅을 파거나 뚫는 등의 굴착공사를 밤에만 하도록 허가했다.
다만 시급한 천재지변 복구공사나 차량 통행에 지장이 없는 인도 공사는 예전처럼 낮에도 가능하다.
시는 전선이나 가스관 등의 지중화 공사는 퇴근 시간이 지난 밤 9시부터 이튿날 새벽 5시까지만 작업하도록 조치했다. 목포시와 한전이 사업비를 절반씩 부담해 공사 중인 목원동 오거리에서 창평동 우체국 앞까지 전선 지중화도 밤에만 이뤄지고 있다. 물론 작업자들은 작업 위험도 등을 고려해 야간 근무수당을 받는다.
그러나 야간 굴착공사 등으로 소음에 시달리는 인근 상가 등에서는 “시끄러워 못살겠다.”는 불만도 적잖은 것으로 집계됐다. 또 시공사들이 야간공사를 기피하기도 한다.
목포시는 이달 들어 구도심 지중화 사업과 민자투자로 하수관거정비사업, 낡은 배수관 교체 상수도 사업, 도시가스 사업 등을 하고 있다. 나창영 시 도로정비계 직원은 “지난해 목포시내에서 이뤄진 크고 작은 도로공사는 130여건이고 작업 일수를 건당 이틀정도만 잡더라도 시민들의 불편이 얼마나 심각했는지 짐작이 간다.”고 말했다.
조용선 건설과장은 “시민편의를 위한 도로공사 야간작업은 민원 등이 있지만 불가피하다.”며 “공사현장에는 안내문을 꼭 붙이도록 하고 도로굴착 때 보행권과 우회 차로 확보에 중점을 두고 지도하겠다.”고 밝혔다.
목포 남기창기자 kcnam@seoul.co.kr
2009-3-3 0:0: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