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직에 지친 당신 ‘취얼업’ [현장 행정]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뉴트로 영화 축제… 동대문 ‘레트로60’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강서 문화예술인들 ‘축제의 장’ 열린다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영등포 도림1구역…45층·2500세대 대규모 주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희망만들기] “나안 괘…엔…찮아요” 10년전 집 나간 자식 걱정뿐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재개발 앞둔 지하 단칸방 생활 10년 뇌졸중 투병 황화자씨

딱 10년 전이라고 했다. 뇌졸중으로 사경을 헤매다 깨어난 것도, 얼마 안 되는 월세 보증금마저 병원비로 날린 것도, 생활고에 지친 남편과 아들이 거동이 힘든 황화자(65)씨를 두고 사라진 것도 말이다. 지난 31일 만난 황씨는 뇌졸중 후유증으로 몸의 반쪽이 마비돼 의사소통마저 힘든 상태였다. 현재 뇌병변 2급 장애판정을 받은 상태다.

그는 더듬더듬 어눌한 발음으로 말을 이어 나갔다.

“나안…괘…엔차요, 그냥 자알…건가앙하게만 이쓰면….”

그는 제대로 말하지도, 움직이지도 못하는 상황에서도 집나간 아들이 건강하게만 지냈으면 좋겠다고 했다. 자신을 찾아 오지 않아도 되니 잘 지내기만 하면 된다는 그 말을, 굳어버린 혀로 한참이나 힘들게 말했다.

은평구 수색동 낡은 단독주택 지하 단칸방. 황씨가 몸을 뉘일 수 있는 보금자리다. 바래고 습기찬 벽지는 바닥부터 1m 가까이 찢겨져 있다. 주워온 매트리스와 5벌 남짓한 옷, 몇개의 그릇이 휑하니 놓여 있다. 6m²(2평) 남짓한 13만원짜리 월세방에 가스레인지조차 없는 살림이지만, 수입이 없는 그에겐 이 곳에 머무는 것조차 버겁다. 구청이 지원하는 차상위 장애수당 12만원과 특별구호비 18만5000원, 기초노령연금 8만4000원을 보태 월세를 내고 나면 밥 먹는 것도 늘 걱정이다. 일회용 가스레인지로 라면을 끓여 먹거나, 근처 사회복지관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점심으로 끼니를 해결한다.

언니 하나를 제외하고 그의 부모와 형제들은 모두 세상을 떠났다. 형편이 어려운 탓에 아직도 일하는 언니가 황씨를 돌보고 있다. 황씨의 언니 월순(76)씨는 “쟤 생각에 죽지도 못한다. 혹시라도 쓰러져 있을까봐 지나가면서라도 하루에 한번 창문을 두드려보곤 한다.”고 흐느꼈다.

병든 몸의 황씨는 2남1녀를 뒀다. 딸은 15년째 시어머니 병수발을 하느라 친정 어머니를 돌볼 겨를이 없다. 큰아들은 사업실패로 집이 경매에 넘어가는 등 어려운 상태다. 남편과 둘째아들은 집을 나갔다. 2004년 언니가 황씨의 남편을 우연히 만났다. 집에 돌아 오라고 애걸했지만 “그럴 생각이 없다.”는 말만 들었다. 결국 황씨는 이혼을 택했다. 구청이 그를 더 돕고 싶어도 법적인 제한이 가로막혀 지원을 할 수 없다. 황씨는 부양할 수 있는 자녀들이 있기 때문에 기초수급자로 선정되지 못한다. 결국 구청이 김치나 쌀 등을 민간 후원으로 연계받아 지급해 줄 뿐이다. 최현정(28) 수색동주민센터 사회복지사는 “곧 재개발이 시작되면 스스로 밥조차 떠먹기 힘든 황씨가 갈 곳이 없어 걱정”이라면서 “이웃들의 온정어린 도움을 기다린다.”고 말했다. 주민생활지원팀 376-1921~3.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09-4-2 0:0:0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