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저서는 모두 몇권? 동국18현은 누구?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시험장에서 한 문제라도 더 맞히려고 노심초사한다. 9급 시험의 경우 1문제를 더 맞히면 평균 1점이 올라가는 데다 합격 여부가 좌우될 수 있기 때문. 하지만 시험 출제자들은 종종 성의없어 보이거나 황당한 문제를 내 절박한 심정의 수험생들을 화나게 한다.지난 11일 치러진 국가직 9급 공무원 시험의 경우 일부 전문가들은 국어 문제가 무성의하게 출제됐다고 비판했다. 지문을 주고 주인공의 나이를 묻는 문제(녹형 10번)는 국어능력을 평가하는 게 아니라 산수 문제였다는 것이다. 또 오답 논란이 일고 있는 표준어 문제(녹형 16번)는 출제기관이 문제를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냈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다.
공무원 시험 문제가 성의없이 출제됐다는 지적은 이번뿐만이 아니다. 지난 2003년 경기도 지방직 시험은 7급과 9급 문제가 똑같아 무성의했다고 수험생들은 주장했다.
수험생들을 당혹스럽게 하는 ‘황당한 문제’도 종종 있었다. 2008년 국가직 7급시험에서는 문묘에서 배향하는 ‘동국 18현(東國十八賢)’을 묻는 문제가 출제돼 수험생들로부터 “너무한다.”라는 하소연을 들었다. 행정고시 출신인 한 공무원은 “정약용의 저서가 몇 권인지 묻는 황당한 문제가 나온 적이 있다.”면서 “그 문제를 틀려 3년이나 더 고시준비를 했다.”고 회상했다.
시험이 치러질 때마다 오답논란도 끊이지 않는다. 행정안전부가 지난해 민주당 김유정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4~2008년 행시와 7·9급 공무원 시험에는 총 35건의 오답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 해 평균 5건의 오답이 있었던 것이다.
노량진의 한 고시학원 관계자는 “현재 공무원 시험 출제 위원은 과목별 각 영역마다 2명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응시료를 올리더라도 출제위원의 수를 늘려 문제의 고급화를 꾀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09-4-23 0:0: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