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이 신입생을 선발할 때 법학적성시험(LEET) 논술영역 반영비율이 언어이해·추리논증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은 지난해 8월 고려대 경영관에서 법학적성시험을 보고 있는 수험생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
오윤 한양대 로스쿨 교수는 지난 17일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가 개최한 ‘법학적성시험의 점검과 개선방안 심포지엄’에서 전국 25개 로스쿨의 올해 입학전형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오 교수는 각 로스쿨이 신입생을 선발할 때 LEET 언어이해·추리논증영역의 총점 대비 평균 반영비율은 26.2%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충남대(50%)·아주대(40%)·제주대(40%)·경북대(33%) 등이 비율이 높았다.
반면 LEET 논술 점수 반영비율은 11.9%로, 언어이해·추리논증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려대와 아주대는 LEET 논술 점수를 아예 입학전형에 반영하지 않았고, 서울대 등 4개 학교는 논술 점수를 심층면접 때 참조하는 수준으로만 활용했다.
오 교수는 “로스쿨 관계자들은 LEET 논술 점수가 채점관들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기본 점수를 어느 정도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변별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또 로스쿨이 LEET 언어이해·추리논증 영역 점수를 반영할 때는 표준점수보다는 백분위 점수를 많이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표준점수는 난이도에 따라 변동이 심해 입학생 선발에 적절치 않다고 로스쿨 관계자들이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오 교수는 다음달 각 로스쿨이 발표할 2010년도 입학전형에서도 논술의 반영 비중이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객관식인 언어이해·추리논증 점수에 의존할 가능성이 여전히 크다는 것이다.
오 교수는 “각 로스쿨이 공개한 자료만 바탕으로 분석을 했기 때문에 평균 논술 반영비율은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09-4-23 0:0: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