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그 방법을 찾았다. 여행객이 휴대전화를 통해 곧바로 그 길의 각종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제공한다는 것이다.
국내 첫 시도다. 도는 17일 ‘충남 옛길 스토리텔링 및 지리정보시스템 개발을 통한 문화디자인 어메니티 구축계획’을 발표하고 2012년 하반기부터 휴대전화로 이를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역문화산업연구센터 공모사업에 선정된 작품이다. 휴대전화로 제공하는 것은 옛길의 역사와 전설은 물론 관련 게임과 만화 등이다. 오디오도 제공한다. 예컨대 천안삼거리를 지날 때 민요 ‘천안삼거리’가 흘러 나오는 것이다. 길 안내도 해 준다.
도는 공주~논산~부여로 이어지는 백제길, 서산~예산~아산 간 보부상길, 보령~서산~당진 간 천주교길 등 3개 옛길을 대상지로 정했다. 정확한 옛길 노선은 실사를 거쳐 결정된다. 벤치나 안내판 등을 설치하는 ‘옛길 정비사업’도 이뤄진다. 사업비는 모두 11억원이 든다.
컨셉트는 ‘느림’이다. 옛길과 충청도 고유의 정서와 이미지에 어울린다. 도는 오는 8월28일까지 만화와 게임 등에 활용할 스토링텔링을 공모한다.
유재룡 충남도 문화산업계장은 “최근 인기있는 슬로 시티운동과 연계, 옛길이 건네는 ‘느림의 미학’을 한국의 대표 브랜드로 키우고 싶다.”고 말했다.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