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천·수원·성남시 4곳 화장장 공급부족 해소 기대
앞으로 수도권 일대 화장장 예약 시스템이 하나로 합쳐져 화장 적체 현상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서울시는 경기 고양시의 서울시립승화원(벽제화장장)과 수원시, 성남시, 인천시 등 수도권 화장장 4곳의 예약을 하나의 홈페이지에서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시립승화원 위탁운영을 맡고 있는 서울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조만간 수도권에 있는 나머지 세 곳 화장장의 운영기관 관계자와 만나 예약 통합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중복예약에 따른 공실(空室)로 화장을 못해 4~5일장을 치르거나 특정 시간대 신청인이 몰려 대기하는 문제점들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또 이중예약과 무더기 선점 등을 막기 위해 이르면 오는 9월 장례업체와 일반 유가족의 화장 예약 신청·변경·취소를 IP주소(인터넷 규약 주소)에 따라 제한할 계획이다. 상조회사 등 장례업체는 등록된 고유의 IP주소로만 예약할 수 있게 된다. 일반 유가족도 사망자 1명에 3회까지만 예약 신청과 변경이 가능하다.
서울시 심순의 장사문화팀장은 “장사문화의 특성상 오전 시간대에 수요가 몰리지만 수용 능력이 한정돼 있어, 고액의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데도 다른 지역 화장장에 이중예약을 하는 사례가 많다. 제때 취소하지 않아 정작 필요한 고객이 이용하지 못하는 일이 연쇄적으로 발생하곤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시는 화장시설 공급 부족 사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지난 1일부터 시립승화원 오전 시간대에 이뤄지는 1~5회차 화장은 다른 지역 주민들의 신청을 받지 않기로 했다. 지역내 주민(서울·고양·포천)만 이용이 가능해진 것이다.
2007년을 기준으로 하루 평균 서울시내 사망자는 106명이며, 화장률은 70.2%다. 현재 시립승화원의 화장시설 23기는 하루 평균 4~5회 가동되며, 서초구 원지동에 11기 규모의 화장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시립승화원에서 오전 시간대에 지역 제한을 두고 2012년쯤 서초구 원지동 제2추모공원이 완성되면 서울의 화장 수요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09-7-10 0:0: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