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총리 “모든 가능성 열려있다”… 출구전략 관측도
정부의 세종시 원안 수정 드라이브에 미묘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반드시 수정’에서 ‘경우에 따라서는 수정 안 할 수도’로의 이동이다. 기존의 완강한 수정론에서 벗어나려는 ‘출구전략’이 가동되기 시작했다는 관측도 나온다.●“한곳도 안 갈수도 다 갈수도”
정운찬 국무총리는 2일 세종시 문제와 관련,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민관합동위원회에서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행정부처의 세종시 이전 여부를 묻는 질문에 “하나도 안 갈 수도 있고, 다 갈 수도 있다.”면서 이렇게 답했다.
이는 기존의 확고한 수정 추진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듯한 뉘앙스를 풍긴다. 정 총리는 이날 “수정안이 무산되지 않도록, 국민의 지지를 제대로 받도록 노력하겠다.”라는 열의를 여전히 비치기는 했으나 ‘모든 가능성’ 운운한 발언에 묻히는 분위기였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도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서 “세종시 문제는 국민과 충청도민이 찬성하는 범위 안에서 해결돼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정부가 세종시 대안을 내놓았는데 충청도민이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한다면 대안을 밀고 나갈 수 없다.”고 말했다.
이들의 언급은 이틀 전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 직후 나왔다는 점에서 심상치 않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한나라당 최고위원단과의 간담회에서 세종시와 관련, “대안을 만들어서 모든 성의를 다해 국민의 이해를 구하고 설득해야 한다.”면서 “그래도 안 되면 도리가 없는 것 아니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李대통령 “설득하다 안되면…”
이 대통령-정 총리-조 대변인이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말을 잇따라 던진 것을 우연으로 보긴 힘들 것 같다. 이상의 발언들을 종합하면, 수정안을 내놓은 뒤 국민을 설득하는 노력을 다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론이 우호적이지 못할 경우 무리하게 강행하지는 않겠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실제 총리실 관계자는 “정 총리 발언은 대통령과 같은 맥락으로 보면 된다.”면서 “정 총리가 ‘출구전략’을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달 27일 ‘대통령과의 대화’ 이후에도 충청권과 야당은 물론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까지 수정 반대 입장을 고수함에 따라 현실적으로 퇴로를 확보할 필요성이 제기된 것 같다는 관측이다.
국회에서 좌절될지도 모를 세종시 수정안과 정치적 운명을 함께 할 경우 차기 대선을 꿈꾸는 정 총리로서는 큰 상처를 입게 되고, 이 대통령으로서도 레임덕에 빠져들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정 총리가 이날 토론회에서 ‘원안 수정이 무산되면 총리직을 사퇴할 것인가.’란 질문에 “어떤 방향으로 답하든 일 추진에 도움이 안 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답변을 안 드리겠다.”고 피해간 것도, 세종시 수정 카드로 배수진을 치고 싶진 않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청와대 박선규 대변인은 이 대통령의 30일 발언에 대해 “모든 성의를 다해 국민을 설득하는 데 방점이 있다.”면서 “중도포기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김상연 강주리기자 carlos@seoul.co.kr
2009-12-3 12:0: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