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직 - 재난 담당 일반직 치열한 다툼
“‘소방청’이 맞나, ‘방재청’이 맞나.”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임무를 맡고 있는 소방방재청. 2004년 6월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로부터 독립해 설립된 곳이다. 하지만 개청 5년이 지난 지금까지 남아있는 한 가지 갈등이 있다. 바로 약칭과 관련한 논쟁이다.
현장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소방공무원들은 소방방재청의 약칭이 ‘소방청’이라고 주장한다. 행정안전부를 ‘행안부’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원리라는 것이다.
반면 재난예방 업무(방재)를 맡은 일반공무원들은 개청 당시 ‘소방’이라는 이름을 앞으로 쓰게 양보한 대신 약칭은 ‘방재청’으로 하기로 했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약칭 다툼은 단순히 내부적 논쟁 수준을 넘고 있다. 언론이나 정부기관이 ‘소방청’ 또는 ‘방재청’이라는 약칭을 쓰면 서로 경쟁적으로 이메일을 보내 정정을 요구한다.
약칭 논쟁은 소방공무원과 일반공무원의 뿌리깊은 갈등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소방방재청의 전신인 ‘민방위재난통제본부’(행자부 산하)는 소방국과 방재관실 등의 조직으로 구성돼 있었는데, 당시부터 두 곳은 심각한 갈등을 빚었다.
통제본부가 청으로 독립할 때도 명칭을 두고 치열한 싸움이 있었다. 소방국은 ‘소방방재청’, 방재관실은 ‘방재소방청’이 맞다며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다.
이들의 다툼을 멈추게 할 방법은 현재로서는 없다. ‘정부조직법’은 각 부처의 정식명칭만 언급하고 있을 뿐 약칭과 관련한 규정은 없다. 약칭은 각 부처가 자율적으로 정하는 게 관례인데 소방방재청은 아예 약칭을 정하지 않고 있다. 전영옥 소방방재청 대변인은 “두 집단의 대립이 심각해 외부에 가능하면 소방방재청 이름 모두를 써달라고 부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민의 생활과 안전을 지키는 소방방재청 공무원들이 사소한 약칭 문제로 지나치게 분열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09-12-18 12:0: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