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분열도 함께 저물기를… 세종시 문제는 올해 하반기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새해에는 세종시 문제가 갈등이나 분열이 아닌 화합의 좋은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20일 충남 연기군 세종시의 첫마을 사업지구 공사현장에 있는 타워크레인 사이로 해가 저물어 가고 있다. 감도(ISO) 50, 조리개 22, 셔터스피드 1/8000, ND4필터를 사용해 10분마다 1컷씩 촬영한 뒤 합성했다.연기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
당초의 강경한 수정 입장이 충청권과 야당,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 측의 완강한 반대에 부닥치면서 ‘수정을 최대한 추진하되 안 되면 어쩔 수 없다.’는 식의 ‘출구전략’으로 약해졌다가, 지난 주말을 기해 ‘반드시 수정’ 쪽으로 입장이 다시 단단해지는 형국이다. 강(强)→온(穩)→강(强)의 흐름이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19일 충북 청주를 방문, “행정부처를 나눠 놓는 것은 어렵지 않나 생각한다.”며 “행정부처가 세종시에 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못 박았다. 앞서 그는 지난 2일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정부부처가) 다 갈 수도 있고, 하나도 안 갈 수도 있다.”고 말해 출구전략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정 총리는 “차라리 수도를 다 옮기면 옮겼지 행정부의 일부를 옮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가장 좋은 것은 현재대로 있는 것이고 수도 이전은 그 다음”이라고 했다. 이어 “현재 세종시에 오려는 대기업 한 곳과 중견기업이 여럿 있다.”고 덧붙였다.
전날 김해수 청와대 정무1비서관도 대전에서 “이명박 정부는 임기 중 세종시에 정부부처를 절대 이전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정했다.”고 말해 행정부처 이전 백지화를 기정사실화했다. 권태신 국무총리실장도 같은 날 “정부부처 이전 규모를 축소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정부의 이 같은 변화는 최근 이명박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세에 자신감을 얻은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은 18일 서울신문 기자에게 “세종시와 4대강 문제에서 소신을 지킨 것이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오른 주요 원인”이라고 말했다. 정부 안에서는 충북과 충남의 여론이 다르고, 충남 중에서도 연기군과 다른 지역의 여론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계란세례와 같은 극렬한 반대는 주로 자유선진당 등 야당과 시민단체들에 국한돼 있는 정황도 여론 설득에 낙관을 불어넣는 요인이다.
정 총리는 “전국적으로 세종시 수정에 찬성하는 분들은 9월 초 제가 처음 얘기를 꺼냈을 때 60% 정도였는데, 이후 (수정에 반대하는) 정치인들이 말씀을 하셔서 40%대로 떨어졌다가 최근에는 다시 57%까지 올랐다.”면서 “아직 충청 주민은 원안을 주장하는 분들이 많지만 제가 마음을 바꿔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정부가 내년 1월10일쯤 획기적인 수정안을 내놓은 뒤 충청권의 민심이 변하면 정치권에 포진한 수정안 반대파의 목소리가 명분을 잃을 것이란 기대도 감지된다. 권 실장은 수정안의 국회 통과 가능성에 대해 “노무현 전 대통령이 탄핵될지 누가 알았겠느냐.”면서 “국회 통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상연 강주리기자 carlos@seoul.co.kr
2009-12-21 12:0: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