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로 교육·가사 일손 나눠요”
#장면1. 정보기술(IT)업계에 종사하는 이종민(31)씨는 얼마 전 ‘품앗이센터’에 등록된 한 회원에게서 컴퓨터 수리를 부탁받았다. 이달 초 교통사고로 다리를 다쳤을 때 다른 회원으로부터 병원이동과 대리운전 등을 도움받은 ‘품삯’을 지불하는 셈이다.#장면2. 서초동에 사는 주부 김정미(40)씨는 최근 돈 한푼 들이지 않고 아들에게 영어과외를 시켰다. 맞벌이 부부를 위해 반찬을 만들어준 대가로 얻은 품 ‘10’개와 회화교육 ‘10시간’을 맞바꾼 것이다.
도움이 필요할 때 이웃끼리 서로 거들며 품을 지고 갚던 우리의 미풍양속 ‘품앗이’를 되살리려는 프로젝트가 서초구에서 시작됐다.
서초구는 돈 대신 가상화폐인 ‘품(Poom)’을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주고받는 현대판 ‘서초품앗이’ 제도를 도입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고 21일 밝혔다.
서초품앗이는 일대일로 노동력을 주고받던 기존의 품앗이 방식을 현실에 맞게 지역 내에서 통용되는 공동 체화폐로 바꿔 교육, 가사 등 능력을 교환하는 제도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도움이 필요한 다른 사람에게 제공하고, 본인도 다른 사람으로부터 맞춤형 도움을 받는 일종의 ‘릴레이 방식의 다자간 품앗이’인 셈이다.
노동의 종류와 상관없이 1시간의 품앗이는 ‘1품’ 가치로 인정받기 때문에 계산도 수월하다. 겨울철 김장을 담그거나 이사 일손돕기 등 평소 사소하게 여겨졌던 노동력이나 기술도 당당하게 인정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씨가 교통사고를 당한 B씨를 위해 운전 서비스를 제공해 주면, IT업에 종사하는 B씨는 C씨의 고장 난 컴퓨터를 고쳐주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A씨와 B씨는 자신들이 제공한 ‘품’의 대가로 회원들끼리 통용되는 가상화폐를 받게 되며 이 가상화폐를 적립해 자신이 필요한 또 다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 현대판 품앗이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구는 회원들끼리 직접 서비스를 신청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지난 10월 인터넷 홈페이지 ‘서초품앗이센터(www.poombank.net)’를 개설했다.
이 센터의 회원으로 가입하면 현금 없이도 아기돌보기와 과외, 부동산 상담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웃에게 제공하거나 받을 수 있게 된다.
서비스 분야 또한 다양하다. ▲강의 ▲외국어·컴퓨터 교육 및 수리 ▲스포츠 강습 지도 ▲가사서비스 ▲요리·홈패션 도우미 ▲수리 및 제작 ▲도색 및 도배 등 15개 분야 총 88개 항목에 달한다.
품앗이 제도를 이용하려면 우선 홈페이지 ‘품나누기’ 게시판에 받고 싶은 서비스와 주고 싶은 서비스를 등록한 다음, 거래하고 싶은 이웃과 연락해 거래하면 된다.
박성중 서초구청장은 “나눔을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자신이 어려울 때 다시 도움을 받는 옛 조상들의 지혜를 현대적 품앗이로 계승한 것”이라면서 “내가 제공한 만큼 제공 받아야겠다는 각박함보다는 나의 능력을 이웃과 나누려는 넉넉한 마음이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09-12-22 12:0:0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