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CCTV 2만 2329대 확충… 서울, 더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개인정보 유출 없도록”…서울시, 개인정보보호위와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성북구, 장위4구역 공사비 갈등 중재 해냈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온라인 실시간 교육, 화상영어…학업 격차 확 줄이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 초등생 수 27년만에 절반으로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서울 지역의 초등학생 수가 27년 만에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서울시가 발간한 ‘e-서울통계 제32호’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의 초등학생 수는 59만 8514명으로 전년의 63만 3486명보다 5.5% 감소했다. 초등학생 수가 가장 많았던 1982년 118만 3735명과 비교하면 49.4% 줄어들었다.

서울의 전체 인구는 1982년 891만 6481명에서 지난해 1046만 4051명으로 17.4% 증가했지만 초등학생 수가 줄어든 탓에 전체 인구에서 초등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같은 기간 13.3%에서 5.7%로 급락했다.

●2014년 65세이상의 절반 밑돌 듯

이는 저출산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15∼49세 여성이 낳는 신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1970년대 평균 3.05에서 2005년에는 사상 최저 수준인 0.92명까지 떨어졌다. 이후 2006년 0.97명, 2007년 1.06명 등으로 반짝 상승했지만 2008년 1.01명, 지난해 0.96명으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학급당 학생 29명… 콩나물교실 완화

서울시는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2014년에는 초등학생 수가 48만 9000여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 전망치 114만 2000여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저출산 고령화로 2005년에 사상 처음으로 노인 인구(73만 1000명)가 초등학생 인구(72만 2000명)를 앞지른 뒤 갈수록 격차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초등학교 교원 및 학급 수가 늘어나면서 ‘콩나물 교실’이 옛말이 됐다는 게 그나마 위안거리다. 교원 수는 1982년 2만 477명에서 지난해 2만 9004명으로 41.6%, 학급 수는 같은 기간 1만 9001개에서 2만 682개로 8.8% 각각 증가했다.

이에 따라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58명에서 21명, 학급당 학생 수는 62명에서 29명 등으로 교육 여건이 개선됐다. 다만 1982년 65.5%에 머물렀던 여성 교원 비율은 지난해 83.9%까지 치솟아 교원들의 성비 불균형이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0-03-0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