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년 4.1% 깎이고 2003년 6.5% 올라
4일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공무원 성과급여 포털에 따르면 공무원 월급은 외환위기 이후인 1998년과 1999년 깎인 것을 제외하면 2009년과 2010년 동결이 가장 낮은 보수 인상률이다. 2008년 발생한 세계적 금융위기 여파였다.
|
공무원 임금 인상률에 대한 통계를 잡기 시작한 1980년 이후 가장 높은 임금 인상은 1980년에 있었다. 기본급은 10% 올랐지만 가족수당이 생기고 다른 수당이 올라 전체 보수 인상률은 22%를 기록했다. 1981년에는 자녀학비보조수당이 생기고 4급 이상 공무원을 대상으로 정보비가 신설되면서 총 보수는 17%가 올랐다. 신군부 집권 이후 공무원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조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 점에서 보듯 공무원 임금 인상률은 들쑥날쑥하다. 인상 여부가 사회 여론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권력층의 결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올해 임금 인상도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공무원 임금 인상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뒤 마련됐다.
지난해부터 정부는 수당을 기본급에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1980년대에 직무수당, 체력단련비 등이 생겨났고 1990년대에는 국제전문직위수당, 업무추진교통비 등이 만들어졌다.
☞2011년도 공무원 보수 인상 결정 자료 보러가기
|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1-01-0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