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오후 6시부터 서울 노원구청엔 때아닌 공무원들의 탄식이 쏟아졌다. 이들은 8급부터 6급까지의 승진후보자 121명으로 논술시험을 치르는 중이었다. 출제된 문제는 웬만한 대학의 수능 논술 못지 않게 어려웠다.
논술 문제는 세계적인 미래학자 제러미 러프킨이 쓴 ‘3차 산업혁명’과 제정임 세명대 저널리즘스쿨 교수 등이 쓴 ‘벼랑에 선 사람들’에서 출제된 3개 문항 중 2개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물론 한 달 전쯤 필독 도서로 예고됐지만 각종 업무로 바쁜 공무원들로서는 논술을 풀어나가기가 쉽지 않았다.
노원구는 왜 이런 독특한 승진시험을 도입했을까. 김성환 노원구청장은 취임 뒤 각종 인사청탁에 골머리를 앓아야 했다고 한다. 악순환의 고리를 끊으려면 구청장의 인사권을 절반은 내려놔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또 구청 공무원들이 일에 치여 책을 제대로 읽지 않는다는 데 생각이 미쳤다. 승진시험을 논술로 하면 인사청탁도 차단하고 책 읽는 문화도 확산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이같은 방식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 다면평가(직원 선·후배가 직접 평가), 서열 등을 종합평가해 구 인사위원회에서 최종 승진자를 결정한다. 하지만 논술시험 우수답안자는 특별 우대를 받는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2-09-2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