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올해와 비슷하거나 더 어려워…기본서 중심으로 오답노트 정리를”
주택관리사는 나이 제한 없이 전문직으로 진출할 수 있어 공인중개사와 함께 대표적인 노후 대비 자격증으로 꼽힌다. 주택관리사란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관리하는 전문직이다. 300가구 이상이나 승강기가 설치되었거나 중앙난방 방식의 150가구 이상 공동주택은 반드시 주택관리사 또는 주택관리사보를 채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앞으로 주택관리사 수요는 꾸준히 늘 것으로 전망된다.주택관리사 시험과목은 총 5과목으로 1차 시험은 민법·회계원리·공동주택시설개론 3과목을 평가하고, 2차 시험에서는 주택관리관계법규와 공동주택관리실무 2과목을 평가한다. 모든 과목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을 받으면 자격 취득이 가능하다. 지난해부터 1차와 2차 시험이 다른 날 시행되고 있다.
지난 7월 시행된 주택관리사 제15회 1차 시험에는 1만 4701명이 응시해 1633명이 합격, 11.1%의 합격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합격률 16.9%보다 많이 낮아졌다. 시험 문제도 어려워지는 추세다. 2차 시험은 9월 23일 실시되었고, 최종 합격자는 10월 31일 발표될 예정이다. 합격률이 낮아진 만큼 철저한 준비가 중요해졌다. 지난 시험 평가와 내년 출제경향에 대해 전문가의 도움말을 들었다.
민법 과목에 대해 에듀윌의 설신재 강사는 3일 “올해 민법 시험은 전체적으로 예년보다 다소 어려웠다.”며 “종합적 사고를 요구하는 사례형 문제가 전년보다 2배나 많은 10문제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내년에도 사례형 문제가 다수 출제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공동주택 시설개론에 대해 이강일 강사는 “에너지를 절약하자는 국가 시책을 반영해 ‘건축물의 에너지 설계기준’에 관한 내용이 새롭게 출제됐다.”며 올해 출제 특징을 집어냈다. 매년 꾸준히 6~7문제가 나오는 건축공사표준시방서에 관한 부분은 건축을 오래 공부한 전공자도 쉽게 맞히기 어려운 내용이었다는 게 이 강사의 분석이다. 내년에도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점에 관한 내용은 출제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른 과목보다 출제 범위가 넓고 불확실하므로 기본서를 위주로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관한 내용을 추가로 학습하는 것이 고득점의 지름길로 꼽힌다.
주택관리 관계법규에 대해 강경구 강사는 “올해 시험은 지난해와 비교하면 다소 쉬웠지만 상대적으로 관리실무가 어렵게 나와 합격률은 약간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내년 16회 시험에 대비해서는 주택법·건축법·임대주택법 3개 법률이 전체 40문제 중 26문제를 차지하기 때문에 ‘3법’을 집중적으로 공략하고, 나머지 법률은 기본용어와 핵심정리사항 중심으로 정리하면 충분히 목표점수를 얻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공동주택 관리실무에 대해 김영곤 강사는 “올해 15회 시험의 전체적인 난이도는 그동안 시행한 시험 가운데 최고로 높았다.”고 평가했다.
관리실무에서 주로 출제되던 주택법령상 공동주택 관리와 관련된 문제의 출제가 줄었고 노동법령 문제의 비율이 높아졌다. 시설관리에서는 법령문제보다는 까다로운 이론문제가 많이 출제됐다. 특히 시설관리 이론문제는 보일러기사, 건축설비기사, 수질환경기사 등 타 전문인 시험에서도 출제빈도가 낮은 고난도의 문제로 이뤄졌다.
내년 16회 시험의 난이도도 올해와 비교해 낮아질 전망이 거의 없으므로 기본서를 꼼꼼하게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리실무는 다른 과목에 비해 출제 폭이 가장 넓어서 기본점수를 확보하려면 기출문제와 예상문제를 통해 핵심을 잡고 틀린 문제는 오답노트 등을 통해 정확히 정리하는 것이 필수다. 김 강사는 “관리실무는 공동주택시설개론과 주택관리관계법규와 겹치는 부분이 많으므로 같이 공부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2-10-0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