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부모가 행복한 도시 원주… 아동보육 분야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헬스케어·천연물·항체… K바이오헬스 메카 꿈꾸는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살기 좋은 도시 영월… 정책 다각화로 인구 감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 무관심에… 40개 시·군, K패스 ‘교통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700억 들인 대구사격장 국제대회 ‘0’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전자표적 부족… 대회·선수 외면

수백억원을 들여 전국 최대 규모로 건설된 대구사격장이 전자표적을 갖추지 못해 국제대회를 치르지 못하고 있다.

대구 북구 금호동에 있는 대구사격장은 연면적 1700여㎡에 모두 220개의 사대를 갖췄다. 사대 수는 경남 창원사격장과 같으나 연면적이 더 넓어 규모 면에서는 전국 최대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제대회를 단 한 차례도 치르지 못했다. 전자표적기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전자표적기는 종이 대신 전자표적에 총을 쏴 점수를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것이다.

대구사격장에는 10m 사격장 80개 사대에만 전자표적기가 있고 나머지 25m와 50m 사대 140개에는 종이표적을 갖췄다. 종이표적은 총을 쏠 때마다 망원경으로 점수를 확인하고 종이를 갈아줘야 한다. 더구나 비가 오거나 흐린 날에는 탄착점이 잘 보이지도 않는다.

국제대회는 전자표적기를 갖춘 사격장에서만 경기해 대구사격장은 신청조차 하기 힘든 상황이다. 전자표적기를 갖춘 창원사격장은 2018년 세계선수권대회를 유치했다.

국내대회도 올해 열린 전국 체전을 비롯해 개장 이후 5차례밖에 열리지 않았다. 이러다 보니 국내선수들이 전지훈련조차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이표적을 전자표적기로 바꾸려면 24억원이 들어가나 대구시는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미루고 있다.

대구사격장은 이용객도 적어 매년 시로부터 거액을 지원받고 있다.

시는 2010년 3억원, 지난해 9억 5000만원에 이어 올해도 10억 1000만원을 지원했다. 2008년 문을 연 대구사격장은 건립비 495억원, 진입도로 개설 200억원 등 모두 700억원 가까운 사업비가 들어갔다.

대구시설공단 관계자는 “최신 방음설비 등 웬만한 시설은 세계적 수준이지만 전자표적을 설치하지 않아 국제대회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대구시와 협의해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2-11-20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