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트립어드바이저 ‘나홀로 여행하기 좋은 도시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계절마다 바뀌는 서울꿈새김판…“막힘없이 나아가는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진구 자양1재정비촉진구역 준공 인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골목형 상점가에 온누리상품권 허용… ‘불황속 단비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시선집중] (19) 금천구 ‘아트캠프’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18개 예술팀 꿈 꽃피는 이곳… 전엔 軍 막사였죠

2010년 6월 금천구청 옆인 독산동 공병 도하부대가 이전하면서 19만 2000㎡의 부지가 공터로 남았다. 문화재 발굴과 토지 정화작업 등으로 개발이 지연돼 공유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화두로 떠올랐다. 특히 1만 1000㎡ 규모의 막사와 연병장은 우범지대로 전락할 위험도 있었다.


차성수(오른쪽) 금천구청장이 지난 7월 금천아트캠프 페스티벌에 참가해 예술작품을 감상하며 한 어린이와 대화하고 있다.
금천구 제공
차성수 구청장이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냈다.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도 마땅한 창작 공간을 찾지 못한 예술인들을 돕는 동시에 주민들의 문화욕구를 충족시키는 사업이었다. 차 구청장은 지난해 5월 토지 소유주인 JP홀딩스와 2년 동안 빈 막사 및 연병장을 예술가 창작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계약을 맺었다. 8월 입주작가 공모 결과 18개 팀을 뽑는 데 44개 팀이 지원해 열기가 뜨거웠다.

구와 주민, 예술가가 힘을 합쳐 탄생한 ‘금천아트캠프’는 지난해 10월 입주 행사로 ‘문여는 날’을 갖고 본격 운영을 시작했다.

국공립 창작공간이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 대형 이슈를 이끌어내는 데 목적을 둔 반면 구는 캠프를 통해 다양한 예술가들이 자발적으로 예술 마을을 형성해 자생적이고 유기적인 창작활동을 하도록 도왔다.

26일 구에 따르면 현재 캠프에는 국악앙상블지음, 다운스트림, 두여자, 산아래문화학교, 스페이스오페라, 아임우드, 온앤오프무용단, 자바르떼, 플레이위드어스 등 총 18개 팀 50여명이 입주해 있다. 특히, 문화예술 교육활동이나 간헐적인 프로젝트 그룹을 운영하는 작가들이 다수 포함돼 일반인에게 캠프를 공개하는 주말과 공휴일에는 예술가가 100여명에 달해 활기가 넘친다.

최근 가수 윤종신, 기타리스트 조정치 등과 ‘신치림’으로 활동을 재개한 가수 하림도 이곳에서 ‘아뜰리에 오’라는 문화예술기획 회사를 운영해 왔다. 금천구청 인근에 살고 있는 하림은 홍대 앞 거리 예술가들이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는 것을 안타까워하던 중 금천아트캠프 소식을 접하고 지역의 특징을 살려 ‘프로젝트 도하’를 제안했다. 월세를 내지 못해 쫓겨나거나 마땅한 공연 장소를 찾지 못하는 예술가들이 주민과 공감하는 전시·공연 프로젝트다. 하림은 “예술가의 생태계, 자생적 삶에 대해 고민하다 예술가들을 홍대에서 금천구로 옮겨 오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차 구청장은 캠프 설립 초기부터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24시간 창작활동이 가능하도록 4개 막사와 연병장을 보수하고 관리인원을 파견했다. 보안등과 지문인식 출입통제 시스템을 설치해 야간의 보안 문제에 대비했다. 공휴일에는 주민에게 체육활동 장소로 개방했다.

지난 3월에는 금천아트캠프 마을공동체인 ‘아트캠프나래’를 발족, 주 5일제 수업에 대비한 토요문화예술 청소년 교육 ‘토요일은 마을이 학교다’를 마련했다. 만화, 뮤지컬, 합창반, 기자반, 목공반 등 총 9개의 예술수업이 100여명의 인근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지난해 주민 710명이 캠프에서 가진 오케스트라 공연은 단일 공연 최다 참가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올해 6~7월에는 입주작가 페스티벌을 열기도 했다. 구는 지난달 서울시가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2 문화 분야 인센티브 사업 종합평가’에서 최우수구로 선정됐다.

차 구청장은 “어려운 재정여건 속에서도 문화예술 발전에 열의를 다하는 공무원과 주민, 예술가 모두의 땀방울이 서서히 결실로 돌아오고 있다.”며 “앞으로도 문화공동체를 육성하고 지역 예술 역량을 높이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2-12-2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