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행부, 1차관-2차관실 48% 맞바꿔…기재부, 과장급 116명 중 37% 섞어
안전행정부가 지난 12월 초 1차관실과 2차관실 소속 직원을 48%나 섞는 대규모 교차 인사를 단행한 데 이어 기획재정부도 지난 17일 과장급 116명 가운데 37%를 맞바꾸는 인사를 실시했다. 기재부의 인사는 그동안 교류가 거의 없었던 1차관실(경제정책)과 2차관실(예산·세제) 간의 과장급을 대거 움직인 조치였다. 기재부 차관은 “부내 협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으로 앞으로 다른 실·국 경험이 있어야 주무과장으로 임명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안행부의 교차 인사가 과장급 미만 직원만 330명 이동한 것이라면 기재부는 과장급만 움직였다는 게 특징이다. 두 부처 모두 직원 숫자가 1000명이 넘는 공룡 부처라 이런 인사 기조가 다른 부처에도 확산될지 관심이 모인다.
안행부는 국회 대응과 전문성 등을 이유로 과장급은 1차관실(옛 총무처)과 2차관실(옛 내무부)을 섞는 인사에서 제외해 교차 인사 대상이 된 공무원들 사이에서 일부 불만이 나오기도 했다. 기재부는 인사 적체 때문에 실·국장급 인사는 없이 과장급에 대해서만 교차 인사가 이뤄졌다.
부처 내부의 대규모 교차 인사는 주로 정권 초기에 일시적으로 실시했다가 중도에 업무의 전문성 때문에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 인사정책 전문가는 “부처 내 전보 인사는 전체를 보는 눈을 가진 인력을 키운다는 의미가 있다”며 “공무원 내부의 인사는 장관의 고유한 인사권으로, 다른 부처 장관도 필요하다면 이를 따를 것”이라고 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4-03-19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