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2000년 폐기 석유저장고 서울광장 8배 문화공간으로
산업화시대 유산인 서울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2년 남짓 뒤 기존 시설을 오롯이 살린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서울광장의 8배인 10만 1510㎡다.
|
국제현상설계 당선작 ‘땅(石)으로부터 읽어낸 시간’. 탱크에 출입구를 마련하는 등 기존 시설과 주변 풍경을 살리도록 설계한 게 특징이다. 서울시 제공 |
석유비축기지는 1970년대 두 차례 석유파동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한 사업이다. 매봉산 자락에 지름 15∼38m, 높이 15m의 탱크 5개를 매설해 석유를 저장했다. 주변 상암동 일대가 첨단 디지털미디어산업 중심으로, 쓰레기 매립지가 노을·하늘공원으로 바뀌는 동안 잊혀진 공간이었다. 2000년 끝내 용도 폐기됐다.
박원순 시장이 취임 후 현장을 방문하면서 석유기지의 잠재력과 가치를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시민, 학생, 전문가 아이디어 공모 및 공개토론회 등 잇단 공론화 과정을 거쳐 ‘친환경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자는 공감대를 형성해 올해 1월 기본구상을 내놨다. 이번 현상 공모 대상지는 기본구상 중 1단계에 해당한다. 2단계 사업인 주차장 부지 일대는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 산업지원 기반으로 추후 개발할 계획이다. 1·2단계 총면적은 서울광장 11배인 14만 6245㎡에 이른다.
공사비는 282억원, 추정 설계비는 15억 9000만원이다. 당선 설계안에 따르면 탱크 5개를 200석 규모의 공연장, 옥외공연장, 전시장 등으로 조성한다. 인공적인 이미지를 자제하고 지형의 고유성을 최대한 끌어내도록 한 게 특징이다. 기본·실시설계와 공사를 거쳐 2016년 말 개장한다. 당선작을 비롯한 입상 작품 12개는 다음달 12일부터 1주일간 시청 로비에 전시된다.
이제원 도시계획국장은 “기존의 산업 유산을 무조건 철거하는 게 아니라 장소적 특성을 살리면서 도시재생 트렌드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며 “서북권 환경생태·문화공간 거점뿐 아니라 시를 대표하는 명소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4-08-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