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대한전선 땅에 1000병상 규모…의료시설 토지용도 지정돼 ‘물꼬’
“단순히 종합병원 하나가 들어서는 게 아닙니다. 수도권 서남 지역의 생활·경제지도가 바뀌게 돼요.”
|
차성수 구청장이 종합병원 부지를 가리키며 지역 개발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금천구 제공 |
지난 22일 서울시는 시흥동 79만 3707㎡ 일대의 개발 계획을 담은 ‘금천구심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을 심의를 거쳐 통과시켰다. 여기엔 옛 대한전선 부지 2만㎡의 종합의료시설 용도 지정이란 내용이 담겼다. 구는 2006년부터 이곳에 10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설립을 꾀했다. 지난해엔 백병원과 건립 협약을 맺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는 듯했지만 토지를 소유한 부영주택과의 가격 협상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결국 미뤄졌다. 차 구청장은 “이번 용도 지정으로 부영 측도 협상 테이블에 앉을 수밖에 없게 됐다”고 설명했다.
구로공단 등으로 대표되는 이 지역은 수도권의 대표적인 산업단지다. 하지만 산업시설 이외 교육, 의료 등 생활에 필요한 기반 시설 부족으로 일이 끝나는 저녁이면 썰렁하게 빈 도시로 전락했다. 한마디로 직장이 있는 곳일 뿐 생활의 공간은 아니었다. 차 구청장은 “교육혁신지구 선정 등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공교육을 기반으로 한 교육 환경이 개선되면서 이제 남은 의료 문제까지 완벽하게 해결된다”고 반겼다.
구는 금천을 서울과 수도권 서남 지역의 허브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세웠다. 이번에 통과된 재정비안에 공군부대와 롯데알미늄 부지 17만 3000㎡가 지구단위계획에 포함되면서 가능성은 더욱 커졌다. 구 관계자는 “금천구청역에서 시흥대로에 이르는 구간에는 보행우선특화거리와 남·북 방향 커뮤니티거리를 건설해 상업몰과 연계할 계획”이라고 귀띔했다.
차 구청장은 그 시점을 2020년으로 본다. 현재 2019년을 목표로 신안산선(여의도~안산 중앙)과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등이 건설되고 있다. 차 구청장은 “서울 중심으로 보면 금천이 변방이지만 넓게 수도권 지도를 펼쳐 놓으면 시흥·광명과 서울을 잇는 허브다. 길이 열리고 콘텐츠(병원·상업시설)가 쌓이면 자연히 사람을 불러 모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숙제는 남았다. 백병원 측이 내부 문제로 병원 건립을 포기하면서 당장 새로운 파트너를 구해야 할 처지다. 차 구청장은 “현재 74곳의 대형 의료기관과 접촉 중이다. 2~3곳이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데, 해외의 병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웃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4-10-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